복숭아 / 서광일
비닐 봉지가 터졌다
우르르 교문을 빠져나오는 여고생들처럼
여기저기 흩어진 복숭아
사내는 자전거를 세우고
떨어진 것들을 줍는다
길이가 다른 두 다리로
아까부터 사내는
비스듬히 페달을 밟고 있던 중이었다
허리를 굽혀 복숭아를 주울 때마다
울상이던 바지주름이 잠깐 펴지기도 했다
퇴근길에 가게에 들러
털이 보송보송한 것들만 고르느라
봉지가 새는지도 몰랐던 모양이다
알알이 쏟아져 멍든 복숭아
뱉은 씨처럼 직장에서 팽개쳐질 때
그리하여 몇 달을 거리에서 보낼 때 만난
어딘가에 부딛혀 짓무른 얼굴들
사내는 아스팔트 위에사
그것들을 가지런히 모아두고
한참을 두리번거렸다
얼마만에 사들고 가는 과일인데
흠집이 있으면 좀 어떤가
식구들은 둥그렇게 모여
뚝뚝흐르는 단물까지 빨아먹을 것이다
사내는 겨우 복숭아들을 싣고
페달을 힘꼇 밟는다
자전거 바퀴가 탱탱하다
2001 신춘문예 당선시집
nefing.com
[당선소감]
낮에 아버지와 논에 나갔다. 추수를 앞두고 노릇노릇 익어야 할 벼들이 때 아닌 태풍에 몸살을 앓고 있었다.
여기저기 비바람에 쓰러진 벼를 보고 있자니 태풍의 멱살이라도 잡고 싶은 게 들녘에 나온 농부의 마음일텐데. 아버지는 한참을 비 속에 서 계시더니 물꼬만 보고 그냥 가신다.
그동안 시가 안써진다고 얼마나 나 자신을 함부로 했던가. 시간은 결코 그 틈을 놓치지 않고 나를 더 깊은 심연으로 침몰시켰다.
그나마 몇 알 여물지도 않은 내 작품이 세상으로 나간다는 게 얼마나 놀라운 일인지.
서울에서의 어설픈 몇 달이 지나도록 아무 것도 하지 못하고 여름내 여물기 위해 얼마나 더위와, 또 내 자신과 싸웠던지 작품을 보내고 며칠을 앓았다.
겉으로는 멀쩡했지만 혓바늘이며, 몸살의 잠복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그 때서야 알았다. 거리를 지날 때마다 자동차 배기통에 대고 호흡하는 듯 답답한 시간이었다.
올 추석 고향에 내려가면 이것 저것 물어오는 친지들에게 뭐라 대답해야 할까. 차라리 이 지독한 도시에 남아 며칠 꾹 참으면 되지 않을까, 하다가도 태생이 촌놈이라 그런지 물소리가 좋고 풀내음이 좋아 결국 내려와 침묵으로 며칠을 보냈다.
짓궂은 친구들. 늘 그 자리에서 날 반겨주기도 하고 대목이라 쉬지도 못하고 일하는 녀석들에게 미안하기도 했다. 철이 들었는지 서로 어깨도 도닥거린다.
관계란 참 대단하다. 내 언어의 텃밭이 되어준 부모님 동생들, 오래 곰삭아 텃밭에 거름이 되어준 고향 친구들, 앞서거니 뒤서거니 텃밭을 함께 일구는 동기들, 그리고 '원광문학회' 식구들 모두 고맙다.
아니 미안하다는 말이 더 어울릴 것 같다. 텃밭에서 거둔 부족한 열매 몇 알을 맛 보아 주신 심사위원님께도 감사드린다.
끝으로 내 오랜 문혈(文血) 현승이와 광대 희준, 내 안에서 질서가 되어준 이준에게 깊은 포옹을 건넨다.
뭔가 해명해야 할 것 같은 4번 출구
nefing.com
[심사평]
'복숭아'(서광일)는 일견 평범하기 짝이 없는 시적 진술로 시작된다. 사내가 자전거를 세우고 길바닥에 흩어진 복숭아들을 줍는 1연부터가 그러한데 특히 비닐봉지에서 흩어져 나온 복숭아들을 '우르르 교문을 빠져나오는 여고생'에 비유하는 것은 더욱 그렇다.
그러나 이 평범의 시행들은 2연의 시적 비약을 감추기 위한 의도적인 온축으로 보인다. 2연에 의하면 사내는 한쪽 다리가 짧으며 그래서 자전거 페달을 비스듬히 밟을 수밖에 없으며 퇴근길에 가게에 들러 식구들을 위해 '털이 보송보송한' 복숭아를 고를 줄 아는, 작지만 눈밝은 기쁜 마음의 소유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대목에서 시인의 시선은 사내가 '허리를 굽혀 복숭아를 주울 때마다/울상이던 바지주름이 잠깐 펴지기도' 하는 데까지 머물면서 이 가난한 날의 삽화를 돌연 활력 있는 어떤 것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우리가 이런 시대에도 시를 쓰고 읽는 이유일 것이다. 즉 '복숭아'는 시의 기본 규칙을 잘 준수하면서 어떤 가난에 특별하고 의미있는 삶의 충만을 선사했다. 그리하여 비록 순간에 불과하겠지만 어느 스산함 속에서도 자전거 바퀴는 기쁨으로 땡땡할 수 있는 것이다.
'복숭아'를 중앙신인문학상 영예의 당선작으로 밀면서 이 작가의 다른 작품들 중에서 '성에'는 짧고 빛났으나 '소음동 삽화'같은 시들은 너무 시적 규범에 얽매인 나머지 안이한 감동만을 선사하고 있다는 점도 아울러 밝혀둔다. 예술가에게 있어 그 앞의 선행 규범이란 때로 과감히 깨뜨리기 위해 필요한 것이라는 점도 이해했으면 한다.
당선작과 이들 작품의 수준차는 그리 크지 않다. 다만 당선작인 '복숭아'에 들어 있는 어떤 시의 눈, 작품 전체에 돌연 생기를 불어 넣는 그 무엇이 이들 작품에는 부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대저 예술이란 무엇인가. 죽은 사물에 가장 자연스럽게 살아 있는 숨결을 부여하는 행위 아닌가..더욱 분발하시기 바란다.
심사위원 황동규, 이시영
'신춘문예 > 중앙일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 박연준 (0) | 2011.02.13 |
---|---|
200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 김재홍 (0) | 2011.02.13 |
2002년 중앙 신인문학상 / 장승리 (0) | 2011.02.13 |
[스크랩] 2002년 신춘문예 중앙일보 당선 詩 (채향옥) -이인자 (0) | 2011.02.13 |
2000년 중앙 신인문학상 / 박성우 (0) | 2011.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