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하백마도(柳下白馬圖)*를 보다 / 유종인
버드나무는 우듬지가 보이지 않는다.
치렁치렁한 줄기 가지로 옅은 바람을 탄다
흰 말이 곁에 있었지만
수양인지 능수인지 모를 버들은 말을 건드리지 않는다
말은 예민한 짐승, 잘못 건드리면
주인도 태우지 않고 먼 들판으로 달아난다
거기서 말의 고삐와 안장은
들꽃들의 우스갯거리에 불과하다
이 흰말에 죽은 말벗을 태우려 했나니 이 흰
말의 잔등에 앉아 영원을 달리려 했더니
버드나무는 고삐도 없이 수백 년 한자리에 묶이고
잠시 매인 흰 말은 무료한 투레질로
오월 허공에 뜬 버들잎에 허연 침버캐를 묻힌다
가만히 버들가지가 말의 허리를 쓸어준다
흰 말은 치뜬 눈동자가 고요해지며 제 눈의 호수에
버들잎 몇 개를 띄어준다 눈이 없는
버드나무는 말의 항문을 잎끝으로 간질이자, 말은
색(色)이 안 든 허공에 뒷발질을 먹인다 허공은 죄가 없으므로
멍이 들지 않는다 뼈가 부러지지도 않는다
주인이 오지 않는 흰 말과 버드나무
사이에 능수(能手)와 능란(能爛)의 연리지(連理枝) 고삐 끈이 늘어진다
버드나무는 오히려 짐승처럼 징그럽고
흰 말은 꽃 핀 오두막처럼 고요하다
친연(親緣)의 한나절이 주인을 빼먹은 일로 갸륵하다
* 공재 윤두서의 그림. 보물.
[당선 소감]
부끄럽고 일천한 얘기지만, 나는 이전까지 한 번도 지리산을 와 보지 못했다. 지리산은 문학과 관념 속의 지리산이었고 같은 한반도 안에서 언젠가는 가봐야 할 막연한 명산 중의 하나였다.
그러던 어느날 그 지리산이 내게 하나의 의미있는 존재로 서서히 그 명암을 드리우기 시작하는 느낌을 가졌다. 그것은 어떤 글이나 그림으로도 설명할 수 없는 하나의 기운에 가까웠다. 그것은 단순한 예감이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돌올해졌다. 무엇이든지 하나의 산을 만나기 위해서는 그 만한 높이와 넓이와 그늘의 바다를 거느려야 한다는 게 내 판단이라면 판단이다. 그런 의미에서 지리산은 내게 하나의 전환기적인 분수령으로 다가드는 드넓은 품일지도 모른다.
아득한 세월 저편에 나를 유목하듯이 내버려두고 이제와 이 높은 뫼의 자락에서 다시금 나를 만날 수 있으리라는 예감은 나의 바람이자 실제가 될 수도 있을지 모른다. 비록 온몸으로 다가와 이 산을 만나보지는 못했지만 나는 이 땅이 내게 전해준 서기(瑞氣)를 예전부터 감지하고 있었고 그 막연한 도움 속에서 내가 살아왔는지도 모를 일이다. 근친의 관계로 이 땅에 살아있음을 확인해준 산이 있다면 그 맨 앞자리에 지리산을 두지 않을 수 없으리라. 어쩌면 이 순간의 만남 속에 지리산에서 무엇이든 회복할 수 있고 소멸된 그 어떤 것도 복원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져본다.
그런 면에서 지리산은 내게 가장 늦된 만남이자 가장 원초적인 선험의, 아니 영험의 큰 뫼로 이미 우뚝했음을 선선히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내게 지리산의 기운이 잠재돼 있음을 일깨워주시고 그 문장의 연분이 이제와 나를 다시 일으켜 세우는 계기가 있음을 보여주신 함양의 모든 분들과 지리산에게 그리고 시문이 또한 지리산 같아야 함을 부족한 글에 독려해 주신 정일근 선생님과 송수권 선생님께 감사를 드린다.
'국내 문학상 > 지리산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회 지리산문학상 / 이경림 (0) | 2011.08.08 |
---|---|
제5회 지리산문학상 / 최승자 (0) | 2011.02.07 |
제4회 지리산문학상 / 정호승 (0) | 2011.02.07 |
제3회 지리산문학상 / 김왕노 (0) | 2011.02.07 |
제1회 지리산문학상 / 정병근 (0) | 2011.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