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일기념사업회' 등이 주관하는 제12회 전태일문학상 수상작으로 소설부문에 김옥숙(35)씨의 ’너의 이름은 희망이다’가, 생활·기록부문에 정경식(45)씨의 ’결코 멈출 수 없다’가 각각 선정됐다. 시 부문은 당선작을 내지 못했다.
소설 부문 가작은 서창덕(37)씨의 ’꿈의 전화’와 조채운(24)씨의 ’그 많던 차장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가, 시 부문 가작은 윤석정씨의 ’자목련’외 2편, 임희구(38)씨의 ’곱창’외 6편이, 생활·기록 부문 가작은 김명순(31)씨의 ’운명의 배반’외 1편이 각각 뽑혔다.
심사위원들은 “전태일 열사의 고귀한 정신을 간직하고 이어가되 현장투쟁이라는제한된 소재에 얽매이지 않고 보다 다양한 우리 삶의 진면모를 보여주는 모든 인간보편의 주제를 다룬 작품들의 주제의식이 돋보였다”고 평했다.
시상식은 다음달 7일 오후 5시 민주노총 서울본부 강당 3층에서 열린다. 한편 ’사회평론’은 이들 당선작과 가작을 전부 수록한 제12회 전태일 문학상 수상작품집 「너의 이름은 희망이다(외)」를 출간했다.
[가작] 자목련 / 윤석정
다세대 주택을 지나면 사내의 아이들이 동네 초입 계단에 앉아 졸고 있다 노을이 아이들의 검은 얼굴로 스미면 밥을 안친 아낙들은 어둠을 집으로 당긴다 사내는 일당과 맞바꾼 돼지고기 네 근을 얇은 불볕에 굽는다 한 점, 한 점 사내의 아이들이 입을 벌리며 지저귄다 사내는 상추쌈을 싸서 아이들의 입속에 넣어준다 사내의 혀끝엔 봄 내를 덜 씻은 쑥갓처럼 쓴 약이 퍼진다 방문으로 기웃거리다가 입맛이 돋우어진 목련나무, 꽃망울에 구수한 냄새가 어린다 혹, 집주인이 잠을 털고 나와 홍자색 꽃망울을 바라볼까봐 사내는 조바심을 낸다 달빛이 소곤소곤 잠든 시각, 사내와 아이들은 오롯하게 목련보다 먼저 꽃피운다
[가작] 곱창 / 임희구
흰눈이 팡 팡 팡 쏟아지는 밤
양철 깔대기에
능글능글한 돼지창자를 까뒤집어 놓고
썩은 똥찌꺼기를 훑어낸다
돼지똥을 만진다
라디오에선 주의 탄일을 축하 축하하고
고무통 속 찬물에 담긴 돼지창자에선
죽어 나자빠질 똥냄새가 퍼진다
모락모락 퍼진다
진동한다
손가락이 얼어터져
손가락이 똥이 될 것만 같다
찜통 속 펄 펄 펄 끓는 물이
똥 뺀 창자를 기다린다
얼어터지다 불 속으로 들어가는
기가 막힌 돼지창자의
싯누런 똥냄새 울려 퍼지는
즐거운 메리 크리스마스
[심사평] 시의 힘과 전태일의 정신
본선에 올라온 작품들은 대체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안정감이 있었다. 특히 윤석정의 시는 구체적 삶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함께, 대상 사물을 사람의 삶 속에 끌어들여 엮는 솜씨가 뛰어났다.
바닥에선 집 나와 서러운 지느러미들이 퍼덕거린다
출항 없이 헛물켠 그의 생활인양
빚진 자리마다 채반은 흠집투성이다
애써 살아보려 했던가
잘못 든 바닷길에서 압류당한 영혼을 채반에 넣고는
그의 굽은 등잔은 물결따라 너울지며 갯내음을 터는 중이다
- <멸치>일부
위에서 삶의 벼랑에 몰려 서울에서 내려와 멸치잡이가 된 그와 바다에서 잡혀와 말려지는 멸치는 구분이 안 될 정도로 일체가 되어 엮어져 있다. 감정과 사상을 대상 사물에 투사하여 일체감을 만들어내는 것은 시의 기본적 힘이다. 시는 불화와 갈등의 세상을 그러한 힘으로 넘어서려 한다.
그와 멸치의 삶은 모두 세상과 결렬되어 절망적인 상태에 있지만 그 양자가 엮어져 일체감을 형성하면서 그 힘으로 마침내 절망을 희망으로 전화시킨다.
그는 눈살을 찌푸리며 멸치처럼 굽어 있던 허리를 펴고
묵직하던 지느러미도 높이 펴본다
- <멸치> 결말 부분
버려진 것, 하찮은 것들로 하여금 비늘을 반짝이듯 희망의 빛을 발하게 하는 시의 힘이 이런 곳에 있지 않겠는가. 그리고 그 시의 힘은 전태일의 정신과도 일맥상통할 것이다.
임희구의 시에는 삶의 절실함과 함께 구체적 사물과 현상을 통해 세상을 꿰뚫어보고 비트는 풍자성과 그것을 날렵하게 처리하는 재치가 있다.
온종일 밥그릇이나 가마솥에서 사람들의 따뜻한
위장 속으로 들어갈 때를 기다리다 지쳐 굳은살
배기던 그 시절. 귀엽게 사랑받던 그때야 늘
내가 당당한 끼니로 군림했었지
(……)
무엇이 남을까? 어디에도 내가 몸 붙일 곳은 없어
간혹 손님 없는 식당에서 볶음밥이 되려고 기다리는
그 짧은 시간? 그것은 내가 아니야 숨막히는
전기밥통 속에서 쉴 틈 없이 열 받다가 가끔 변질되어
쓰레기통에 던져버리면 그때야 찬밥이 되지
- <찬밥> 일부
위 시의 화자는 ‘찬밥’이라는 사물이다. 찬밥의 시선으로 사람들의 소중한 끼니가 되었던 과거 찬밥의 처지와 전기밥통 속에서 뜨겁게 달달 볶이다가 변질되어서야 쓰레기로 버려지는 지금의 찬밥의 처지를 비교해 이야기하고 있다. 하찮은 것이 하찮은 것의 시선으로 이야기되면서 신선하고 새롭게 다가온다. 그리고 말미에서 찬밥의 이야기는 사람의 이야기로 전화하면서 우리들에게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 이 편리한 첨단 문명의 사회야말로 인간을, 노동자를 결국 쓰레기처럼 내던지는 사회가 아니냐고.
썩은 찬밥이 되지.
내 설 자리가 없는 지금은 첨단 공화국
그대들도 언젠가 파묻혀 갈,
- <찬밥> 마지막 연
우리 시에는 풍자시의 전통이 미미하다. 소중한 재능을 잘 키워가기 바란다.
윤석정, 임희구의 시를 가작으로 정했다. 당선작으로 하지 않은 것은 두 사람의 시가 많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전태일의 정신을 살리면서 한 시대의 새로운 스타일을 개척하는 시를 만나고 싶다는 심사위원들의 과도한 욕심 때문일 것이다. 더욱 정진하기 바란다.
- 심사위원 김진경 (시인)
'국내 문학상 > 전태일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4회 전태일문학상 / 이맹물 (0) | 2011.03.05 |
---|---|
제13회 전태일문학상 / 서상규 (0) | 2011.03.05 |
제11회 전태일문학상 / 임성용 (0) | 2011.03.05 |
제10회 전태일문학상 / 김병섭 (0) | 2011.03.05 |
제9회 전태일문학상 / 장옥자 (0) | 201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