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의 기원 / 안병호
문득, 뼈가 시려오면
내 뼈의 아득한 시원을 찾아
눈과 바람의 길을 걸어 수백 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뼈대 있는 집안의 자손이라는 것이
대체로 나의 문명이지만
그것은 비석에 판각되거나 정의되어진 것만이 아닌
단단한 그 무엇이 내 속을 지탱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장과 말 속에도 뼈가 있다하고
문중의 아재 한 분은
바람조차 투명한 뼈를 지니고 있다하므로
뼈는 삼라만상의 근원이다
모든 족속은 그 조상으로부터
몇 개의 맑고 흰 뼈를 물려받아 사는 동안
또 한 생이 고요히 마감되는 것이다
“뼈가 시릴 적엔 몇 모금 음복술로 덥히면서 오백년 전, 통정대부 할아버지를 만납니다. 삼십대에 무슨 사화로 졸(卒)하신 당신, 처자식은 관노가 되고 그 때 당신의 눈물은 눈발이 되어 사방 백리까지 날렸습니다. 그때부터 당신은 뼈마디마다 수수눈꽃을 피우면서 아버지와 저의 뼈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므로 눈발 속에도 맑은 뼈가 있음을 저는 믿습니다. 아버지가 졸(卒)하시던 그 때처럼”
아버지는 신발공장 공원에서 출발하여
생의 마지막 즈음 공사판 반장직에 올랐는데
젊은 나이에 병으로 졸(卒)하셨다
그 때 아버지는 뼈만 남은 문양으로
어린 내 손을 꼭 잡은 채, 흐린 물기를 보였는데
물기는 뼈를 타고 흐르다 서서히 결빙되고 있었다
어린 나는 앙상한 뼈의 모습이
너무 무섭고도 생경해 입관 하던 날조차
차거운 뼈를 따습게 데우지 못했다
그 날에도 먼 곳에서부터 눈발이 날려 왔고
오래지 않아 강아지처럼 여린뼈를 가진
내 아이가 세상에 나왔다
“아버지, 오늘 밤 수북이 눈이 내립니다. 눈송이 송이마다엔 당신의 눈물이 담겨있다는 것을 잘 압니다. 북편에서 날리는 눈발에는 종가에 계자로 와 당신 집안은 절손 된 9대조 조부님의 눈물도 보입니다. 저와 아이는 오늘 같은 밤이면 뼈를 살포시 맞대고 세상을 꿈꿉니다. 그래서 눈 오시는 밤은 참으로 마음 따습습니다.”
뼈가 잘 맞물려서 사계절을 보냈다
펼쳐진 시간 속에서
나의 뼈는 좀 더 유연해지고
아이의 뼈는 좀 더 옹골차졌다
몸속의 뼈들을 가지런히 정돈하여
순하게 낮추는 오늘,
뼈마다 하얀 풀꽃이 피어난다
향불을 피우는데 음력 시월 을해(乙亥)
이른 눈이 축문과 함께 투명하게 날린다
기서유역氣序流易
상로기강霜露旣降
첨소봉영瞻掃封塋
불승감모不勝感慕
근이謹以
청작서수淸酌庶羞
지천세사祗薦歲事 상尙,
향饗
“당신들께서는 하얗게 뿌려지는 눈으로 혹은 투명한 축문의 곡조로 살아오십니다. 맑은 눈발 속 나폴 나폴 떠다니는 어린 것이 또 다른 뼈의 기원임을 깨닫고 있습니다. 생이 다하는 날까지 뼈를 추스르며 어린 뼈를 돌보려합니다. 아이를 가만히 껴안아봅니다.”
[당선소감] 흉한 글 수상…더욱 정진하라는 뜻
겨울이 깊어지고 있다. 동짓달 바람과 함께 결빙된 어둠이 내린다. 내 영혼도 시린 어둠처럼 오랜 시간 해빙되지 못했다. 문득, 불안정한 물상들이 스쳐지나간다. 지난 삶은 일상의 갈피마다 차가운 그림자가 펼쳐지곤 했다. 발은 자꾸 헛디뎌지고 내 속의 언어는 좀처럼 시가 되지 못했다. 시가 되지 못한 언어들이 입 안에서 술렁이다가 자주 치아를 흔들면서 치근단까지 상하게 했다. 오늘도 치과를 다녀왔다. 나는 그렇게 겨울 풍경처럼 기울어져 바람에 흔들거렸다.
돌이켜 보면, 참으로 늦은 나이에 문학을 접했다. 불혹을 몇 해 앞두고 중한 병을 앓았던 적이 있었다. 병상에서 몇 권의 시집을 읽은 것이 시를 처음 만나게 된 계기였다. 무작정 독학으로 시 창작 공부를 시작했다. 그러면서 시를 통해 모질고 험난했던 지나간 생과 화해도 하고 내 영혼도 위로 받으려고 했다.
하지만 그것은 너무나 아둔하고 순진한 생각이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시가 내 생에 있어서 또 하나의 얼음송곳이 될 줄은 미처 알지 못했다. 내가 쓴 시가 문자와 이미지에 갇힌 관념의 조합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는 데는 그리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더욱이 영혼의 해독은 고사하고 육신의 해독도 불가능한 비문들이었다. 깊은 사유와 철학 없이 시를 쓰다는 게 참으로 무모한 짓임을 인식하고는 오랜 시간 글 짓는 것을 포기하기도 하였다.
울림 없는 시를 세상에 내 놓는 것이 얼마나 부끄러운지를 알고 있기에 당선소식을 듣고 긴 한숨을 쉬었다. 나에게 시 쓰기란 늘 두려운 작업이었다. 이젠 두려움이 더욱 깊어지겠지만 이런 상황도 천 년 전에 이미 정해진 운명일 것이다. 흉한 글을 선택해 주신 심사위원 선생님의 의도는 목숨 걸고 정진하라는 의미임을 잘 안다. 혼신을 다해 노력해야겠다. 지면을 빌어 함께 밥을 먹는 사람에게 그리고 아이들에게 나의 공백에 대해 늘 미안한 마음이었다고 전하고 싶다.
[심사평] 혈육에 대한 ‘화자의 연민’ 잔잔히
상당수 시편에서 참신한 발상과 탄탄한 직조력에 놀라면서 능청스런 어법과 해학으로 읽는 재미를 한껏 느낄 수 있었다.
본지의 특성상 불교적 선미가 깃든 작품이 상당수 있었으나 대체로 관념을 육화시키는 단계에까지 이르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그러나 순조로운 시상전개와 유려한 발성이 돋보이는 ‘초록 함정’이나 ‘바람의 사원’ 같은 작품에 눈길이 오래 머물렀다. 해학성이 넘치는 ‘산국이 노랗게 피었어’나 ‘언어 수난 기록문’, ‘동물의 왕국’과 ‘월식’의 참신성과 시적 통찰력, 생명에 대한 외경과 사실적 묘사가 돋보인 ‘고양이에 대한 편견’, 한 치의 오차 없이 조사가 탁월한 ‘꽃잎’과 ‘낚시’에서는 선명한 이미지와 영상미가 돋보였다. 이러한 시 읽기를 두루 충족하는 ‘어머니’와 ‘살구나무’ 그리고 ‘들 찔레꽃’은 ‘뼈의 기원’과 끝까지 겨루었다.
신춘문예는 신인의 등용문이라는 점에서 언어적 세련성과 완결성도 중요하나 시적 통찰력과 참신성에 더 주안점을 두었다. 한편의 시를 꿰뚫는 유기적 통일성과 새로운 발성을 기대한다는 말이다. 그러나 ‘새로움의 추구’로 하여 상당한 수준에 이른 응모자 몇 분의 시편이 보여주듯이 허위적 치장이나 포즈, 단선적(斷線的) 언어구사로 소통불능의 난해시가 되어서는 곤란하다. 결국 <뼈의 기원>을 진정성과 설득력을 겸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종 당선작으로 결정했다.
‘뼈의 기원’에서 시적 화자가 들려주는 진지한 발화는 시종 중량감을 가지고 시적 구성을 탄탄히 떠받치는 힘을 발산하고 있다. “몸속의 뼈들을 가지런히 정돈하여/ 순하게 낮추는 오늘”은 시제(時祭)를 지내는 기일이다. “향불을 피우는데” “이른 눈이 축문과 함께 투명하게 날리는” 데서 ‘나의 뼈’와 ‘아이의 뼈’를 이루는 그 기원과 눈발로 오시는 조상님들을 추상(追想)하고 있다. 이 시의 탄탄한 구성력이 더욱 돋보이는 것은 몰락한 가계의 조상과 혈육에 대한 시적 화자의 따뜻한 연민이 잔잔히 배어나기 때문이다.
심사위원 홍성란 시조시인
'신춘문예 > 불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 불교신문 신춘문예 / 박상주 (0) | 2011.12.31 |
---|---|
2011년 불교신문 신춘문예 / 이명 (0) | 2011.02.09 |
2009년 불교신문 신춘문예 / 유금옥 (0) | 2011.02.09 |
2008년 불교신문 신춘문예 / 박지선 (0) | 2011.02.09 |
2007년 불교신문 신춘문예 / 김문주 (0) | 2011.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