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만이 집이 아니고 / 오세영
출가出家라니
정녕 어디로 간단 말이냐.
머리 깎아 바랑 메고
산으로 간단 말이냐.
장삼 걸쳐 법장法杖 짚고
바다로 간단 말이냐.
바람 따라 향기 좇아 이른 계곡엔
도화桃花는 시나브로 꽃이 지는데
하염없이 개울물은 흘러가는데
강물 따라 소리 좇아 이른 바다엔
파도는 실없이 부서지는데
출가라니
누굴 따라 어디로 간단 말이냐.
집만이 집이 아니고
집 밖에 있는 것이 또 집인데
비로봉 만물상 곰바위 밑에
앉은뱅이 민들레나 되란 말이냐.
지리산 세석대 널바위 밑에
가지 꺾인 소나무나 되란 말이냐.
출가라니
집 밖이 또 집인데
정녕 어디로 가란 말이냐.
춘설
nefing.com
[심사평]
올해로 7회를 맞은 공초문학상은 시 부문에 시상하는 문학상으로 그동안 수상자들의 면면을 볼 때 그 높이와 무게를 가늠할 수 있는 권위 있는 상이다.
이에 부응해 5명의 심사위원들은 운영 규정에 명시된 ‘20년 이상의 문단 경력이 있는 작가로 작품의 우수성뿐 아니라 수상자의 인품도 고려한다’ ‘전년도 6월부터 당해년도 5월까지 발표된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는 취지에 맞는 시인의 작품을 고르기 위해 3명 이상 대상자를 추천한 뒤 다수 득표자 2명으로 압축, 의견을 개진하는 식으로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문학상의 참뜻을 살리기 위해선 국외자적 위치에서 고독하게 그러나 치열하게 창작 활동을 하는 시인들에게도 눈을 돌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결국 시집 ‘벼랑의 꿈’을 펴낸 오세영 시인을 수상자로 결정했다. 수상작은‘집만이 집이 아니고’. 오세영 시인은 시력(詩歷)이 30년 넘게 왕성한 창작 활동을 해오면서 일관되게 한국시의 정체성을 모색해온 중진 시인이다. 이번에 펴낸 제10시집 ‘벼랑의 꿈’은 고승들에게서나 접하던 선시의 내밀한 정서를 현대적 삶에 새롭게 접목시키고 있다. 특히 수상작은 자기 존재의 긍정과 부정 사이에서 표출되는 정신적 방황을 서정적이고 모던한 언어로 포착, 현대 서정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보이고 있다. 이런 성과는 저 무소유의 존재론적 시사상을 펼쳤던 공초의 문학 정신과도 맞닿아 있다고 하겠다.
- 심사위원 대표 이근배(시인)
'국내 문학상 > 공초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9회 공초문학상 / 정진규 (0) | 2011.08.12 |
---|---|
제8회 공초문학상 / 이탄 (0) | 2011.08.12 |
제6회 공초문학상 / 신경림 (0) | 2011.08.12 |
제5회 공초문학상 / 박제천 (0) | 2011.08.12 |
제4회 공초문학상 / 김여정 (0) | 2011.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