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미시령 큰바람 / 황동규

 

 

1

아 바람!

땅가죽 어디에 붙잡을 주름 하나

나무 하나 덩굴 하나 풀포기 하나

경전(經典)의 글귀 하나 없이

미시령에서 흔들렸다.

 

풍경 전체가 바람 속에

바람이 되어 흔들리고

설악산이 흔들리고

내 등뼈가 흔들리고

나는 나를 놓칠까봐

나를 품에 안고 마냥 허덕였다.

 

2

초연히 살려 할 적마다

바람에 휩쓸린다.

가차없이

아예 세상 밖으로 쫓겨나기도.

 

길동무 되어주는 건 흠집투성이의 가로수와

늘 그런 술집 간판뿐.

(내 들리는 술집은 옮겨다니며 줄어든다.

아예 간판을 뗀 곳도.)

점점 바람이 약해진다.

 

3

이젠 바람도 꿈속에서만 분다.

아니다, 꿈 바깥에서만 불다 간다.

나 몰래 술집 간판을 넘어트리고

가로수를 부러트리고

꿈의 생가(生家)를 무너트리고

바람은 꿈 없이 잠든다.

 

4

바람을 생각할 때마다

나는 작은 새 하나를 꿈꾼다.

바람이 품에 넣다 잊어버린 새

날다가 어느 순간 사라질

고개 들고 하늘을 올려다보면 벌써 보이지 않는

그런 얼굴 하나를.

 

그 얼굴은 녹슬지 않으리라

과연?

 

5

스물세 해 동거(同居)한 철제 책상의 분위기가 한동안 이상해

마음먹고 살펴보니

모서리 손잡이 다리

서랍 속 구석구석이 온통 녹.

아 내 삶의 녹.

사라지지 않는 것들은

다 녹이 슨다.

손수건을 꺼내 얼굴을 닦는다.

 

새 책상 들고 온 용인들을 보내고 연구실 문을 나서다

복도 벽에 밀어논 옛책상 앞에서 그만 발 헛디딘다.

순간 숨 멈추고 간신히 두 손으로 모서리를 붙들고

복도 끝 문밖에 서 있는 나무들을

생전 처음 보듯 신기하게 본다.

 

나무들은 조용하다.

옛책상의 얼굴을 한번 조심히 쓰다듬어본다.

내 내장, 관절, 두뇌 피질 여기저기서

녹물이 흘러나온다.

녹물이 사방에 번진다.

옛책상의 얼굴을 한번 더 쓰다듬는다.

지구(地球)의 얼굴이 부드러워진다.

이상하다

바람이 일기 시작한다.

복도 끝의 나무들이 흔들리고

가로수와 간판이 흔들리고

강원도 나무들이 환하게 소리지르고

그 바람 점점 커져

드디어 내 상상력을 벗어난다.

아 이 천지(天地)에

 

미시령 큰바람.

 

 

 

 

미시령 큰바람

 

nefing.com

 

 

세련된 감수성과 지성을 바탕으로 견고한 서정의 세계에서 시작하여 체제 비판의 목소리와 죽음에 대한 탐구에 이르기까지 쉼 없고 경계 없이 시를 쓰는 시인이다. 소설가 황순원의 아들이다. 1946년 월남해 1957년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영문학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다. 1966~67년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하고 1968년부터 정년퇴임까지 서울대학교 영문과 교수로 있었다.

 

1958년 〈현대문학〉에 시 〈시월〉·〈동백나무〉·〈즐거운 편지〉가 서정주의 추천을 받아 등단했다. 초기작 〈어떤 개인 날〉(1961),〈비가〉(1965)의 시기는 구체적 현실을 배제하고 비극적 감상을 전경화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환멸과 부정, 외로움과 상실 등이 드러나는 낭만적 우울의 시 세계를 보인다. 〈태평가〉(1968),〈열하일기〉(1972)에서는 연가풍의 애상적인 분위기보다는 시대적 상황의 모순을 역사적, 고전적 제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이어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1978),〈악어를 조심하라고?〉(1986) 등에서는 폭력적 세계와 마주친 주체의 위기와 공포를 '극(劇)서정시'라는 형식으로 전환하여 암시와 간접화의 표현법을 사용함으로써 사회문제를 한 차원 높게 작품화하고 있다. 1982년 시작되어 14년간 70편으로 연작된 〈풍장〉(1995) 이후에는 동양적 선(禪)의 세계와 역동적이면서도 달관적인 풍모가 어우러진 죽음에 대한 관조, 자연과의 합일, 죽음과 삶에 대한 통찰을 통해 '삶의 완성으로서의 죽음'이라는 낙관적이고 여유로운 인식을 보인다.

 

이외에 시집 〈평균율1〉(1968; 마종기·김영태 공저), 〈삼남에 내리는 눈〉(1975), 〈몰운대행〉(1991), 〈미시령 큰바람〉(1993), 〈외계인〉(1997), 〈버클리풍의 사랑노래〉(2000), 〈우연에 기댈 때도 있었다〉(2003), 〈꽃의 고요〉(2006), 〈겨울밤 0시5분〉(2009) 등이 있고, 산문집으로 〈사랑의 뿌리〉(1976), 〈나의 시의 빛과 그늘〉(1994), 〈젖은 손으로 돌아보라〉(2001), 〈삶의 향기 몇 점〉(2008) 등이 있다.

 

현대문학신인상(1968), 현대문학상(1980), 김종삼문학상(1991), 이산문학상(1991), 대산문학상(1995), 미당문학상(2002), 만해문학부문대상(2006) 등을 수상했다.

 

 

 

오늘 하루만이라도

 

nefing.com

 

 

제3회 大山문학상 시상식이 29일 오후 6시 서울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렸다.

 

대산재단(이사장 愼昌宰)이 제정하는 대산문학상은 최근 2년동안 단행본으로 발표된 문학작품 가운데 가장 작품성이 뛰어난 작품을 시.소설.희곡.평론.번역 등 5개부문별로 선정, 시상하며 총상금이 1억2천만원에 달한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黃東奎 서울대 교수가 시부문상, 소설가 崔仁碩씨가 소설부문상, 극작가 李潤澤씨가 희곡부문상, 柳宗鎬 이화여대 교수가 평론부문상, 鄭鍾和 고려대 교수와 안토니 티그 서강대 교수가 번역부문상을 각각 수상했다.

 

시상식에는 朱燉植 문체부장관, 李道先 교보생명회장, 토머스 해리스 영국대사, 테리 토니 영국문화원장, 李桓儀의원, 金聖佑 한국일보 주필, 朴盟浩 민음사 사장, 柳敏榮 예술의 전당 이사장, 김광인 문예진흥원 사무총장, 김도훈 극단뿌리 대표 등이 참석했다.

 

또 시인 김종길.김광규.유경환.김윤배.이성부.정희성.임영조.김명인.조정권.조은씨, 소설가 황순원.최일남.이문구.홍상화.이창동.김향숙.이승우.방인웅.김인숙씨, 평론가 정명환.김용직.김우창.백낙청.이상섭.이재선씨 등 다수의 문인도 자리를 함께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