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김춘수 시전집

 

nefing.com

 

1922년 경남 통영에서 태어나 니혼 대학 예술학원 창작과에서 수학했다. 1945년 유치환, 윤이상, 김상옥 등과 <통영문화협회>를 결성하면서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릴케의 영향을 받아 삶의 비극적 상황과 존재론적 고독을 탐구하였고, 이후 십여년의 암중모색을 거쳐 1960년대 말부터 '무의미시'를 주창, 자기만의 시세계를 구축했다.


82년 명예 문학박사(경북대) 학위를 받았다. 65년 경북대학교 문리대 교수, 78년 이후 영남대학교 교수를 거쳐 81년 11대 국회의원(민정), 86년 방송심의위원장, 91년 한국방송공사 이사 등을 지냈다. 대한민국문학상 본상, 한국시인협회상, 자유아세아문학상, 대산문학상, 인촌상 등을 받았다.

첫 시집 <구름과 장미> 이후 <늪>, <기>, <연인>,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타령조 기타>, <들림, 도스토예프스키>, <의자와 계단> 등의 시집과 <처용>, <처용이후>,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등의 시선집, <의미와 무의미>, <시의 표정> 등의 시론집을 냈다.

 

728x90

 

 

원로시인 김춘수씨(78)가 제1회 청마(靑馬)문학상을 받는다. 청마 유치진 시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이 상을 제정한 청마문학회(회장 문덕수)는 최근 신작 시집 의자와 계단을 펴낸 김씨를 20일 첫 수상자로 선정했다.

 

시상식은 214일 오후 2시 통영시민문화회관 개관식과 함께 열리며 창작지원금 1천만원이 주어진다.

 

김씨는 청마와 함께 1945년 통영문화협회를 결성하기도 했으며 1946년 등단한 이래 15권의 시집을 냈다

 

 

 

 

의자와 계단

 

nefing.com

 

 

원로시인 김춘수씨가 새 시집을 내며 여전한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올해로 78세인 김씨는 의자와 계단(문학세계사 펴냄)을 통해 새로워진 작품세계를 독자들에게 펼쳐보였다.

 

시집에 실린 작품은 <의자> <계단>을 비롯해 모두 50여편. 그는 이들 작품에서 '마음가는대로, 느끼는대로' 사물을 관조하며 그 모습을 정제된 언어로 노래했다.

 

김씨는 시적 실험과 자아 부정을 통해 '무의미시'라는 문학적 지평을 열었던 시인. 그는 언어파괴라는 극한작업으로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를 넘나들었다.

 

이번 시집은 이같은 그의 작품세계에 변화를 몰고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언어실험보다는 서정성 넘친 시적 미학으로 인간의 감성을 잔잔하게 자극하고 있다는 것.

 

대표작으로 꼽히는 <>은 유년 시절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회상을 한편의 회화처럼 생생하게 재현해내고 있다.

 

<어머니가 어떤 동작을 하다가 무심코 고개를 들어 서쪽 하늘을 바라봅니다. 나도 무심코 어머니의 시선을 따라 서쪽 하늘을 쳐다봅니다. 그쪽은 온통 놀로 물들어 있습니다 // 놀로 물든 하늘이 어머니의 볼에 적십니다. 어머니의 볼도 놀빛으로 볼그스름 물들어갑니다>(<>에서)

 

팔순을 바라보는 김씨는 치열한 삶과 편안한 안식을 동시에 갈구하고 있다. 시집의 제목을 <의자와 계단>이라고 붙인 것도 이것과 직접 관련이 있어 보인다. 그는 책의 첫머리에서 "의자는 안식의 표상이다. 거기 가서 내 엉덩이를 놓아 한번 푸근해지고 싶다. 나는 지금 의자가 없는 세상에 살고 있다"고 안타까워 한다. "제아무리 올라간다 해도 계단에는 한계가 있다. 다시 내려와야 한다"는 말로 삶의 고단한 필연을 강조했다.

 

시집 뒷부분에 나오는 다섯편의 짧은 시에서는 그 특유의 익살과 기지가 느껴지기도 한다. 제목이 없는 이들 시는 마치 동화같은 분위기를 안겨준다.

 

<달도 말고 별도 말고 / 해 지면 슬금슬금 / 뒷집 영감 불알이나 따러 가세>

 

<우루무치는 내 동생 / 누루무치도 내 동생 / 한 놈은 쩔룸발이 / 한 놈도 쩔룸발이 /왜 두 놈이 다 쩔룩거려야 하나 / 한 놈과 쩔룩거리면 안 될까>

 

김씨는 등단 무렵의 상황과 작품세계 형성과정 등을 들려주는 산문 <시인이 된다는 것> 등 두 편의 산문도 시집 끝에 덧붙여놓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