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하모니카 부는 오빠 / 문정

 

 

오빠의 자취방 앞에는 내 앞가슴처럼

부풀어 오른 사철나무가 한그루 있고

그 아래에는 평상이 있고 평상 위에서는 오빠가

가끔 혼자 하모니카를 불죠

나는 비행기의 창문들을 생각하죠, 하모니카의 구멍들마다에는

설레는 숨결들이 담겨 있기 때문이죠

이륙하듯 검붉은 입술로 오빠가 하모니카를 불면

내 심장은 빠개질 듯 붉어지죠

그때마다 나는 캄보디아를 생각하죠

양은 밥그릇처럼 쪼그라들었다 죽 펴지는 듯한

캄보디아 지도를 생각하죠, 멀어서 작고

붉은 사람들이 사는 나라, 오빠는 하모니카를 불다가

난기류에 발목 잡힌 비행기처럼 덜컹거리는 발음으로

말해주었지요, 태어난 고향에 대해,

그곳 야자수 잎사귀에 쌓이는 기다란 달빛에 대해,

스퉁트랭, 캄퐁참, 콩퐁솜 등 울퉁불퉁 돋아나는 지명에 대해,

오빠의 등에 삐뚤빼뚤 눈초리와 입술들을

붙여놓은 담장 안쪽 사람들은 모르죠

오빠의 하모니카 소리가 바람처럼

나를 훅 뚫고 지나간다는 것도 모르죠

검은 줄무늬 교복치마가 펄렁, 하고 젖혀지는 것도

영원히 나 혼자만 알죠

하모니카 소리가 새어나오는

그 구멍들 속으로 시집가고 싶은 별들이

밤이면 우리 집 평상 위에 뜨죠

오빠가 공장에서 철야작업 하는 동안

별들도 나처럼 자지 않고 그냥 철야를 하죠

 

 

 

 

2008 신춘문예 당선시집

 

nefing.com

 

 

[당선소감] 몇 년 동안 안고 산 의 그늘 걷혀

 

짙은 안개 속으로 출근을 합니다. 햇살은 아직 산속에서 종종거리고 있습니다. 안개에 어둠이 잔뜩 물려 있습니다. 길이 보이지 않아 갑갑하기도 무섭기도 합니다. 나는 앞차의 엉덩이에 헤드라이트를 비추며 안개 속으로 점점 깊숙이 들어갑니다. 안개가 쉽게 걷힐 것 같지 않습니다.

 

3교시 수업 끝내고 쉬는 시간 불현듯 전화를 받습니다. 사방의 안개가 걷힙니다 몇 년 동안 꼭 안고 살아온 시의 그늘도 걷힙니다. 나는 벌판에 전신주처럼 서 있습니다. 이곳저곳으로 열심히 당선소식을 퍼 나릅니다. 흥성거리는 햇살이 벌판에 가득 차올라 있습니다.

 

금방 사연이 바짝 말라버립니다. 나는 홀로 두리번두리번, 꼼짝없이 벌판에 붙박여 있습니다. 알알이 드러난 내 몸뚱이를 내려다봅니다. 부끄럽습니다. 다시 어딘가로 숨고 싶습니다. 내일이면 밤이 제일 길다는 동지, 내 몸뚱이 가려줄 어둠 한 폭 정도는 여유가 있겠지요.

 

먼저 부족한 시를 선뜻 뽑아, 시의 꽁무니에 불을 붙여주신 오세영 선생님, 정호승 선생님 고맙습니다.

 

허락도 없이 시의 소재로 차용한 이 땅의 그늘 깊은 사람들께도 고마운 마음 전합니다. 땅만큼이나 따뜻한 마음으로 시를 채찍질해주던 여러 스승들과 친구들에게도, 고집불통 글쟁이 남편 때문에 내내 마음에 바람만 안고 살아가는 아내에게도, 올망졸망 예쁘고 순결한 내 어린 눈망울들에게도, 고마움 한 구절 이렇게 뽑아 올립니다.

 

 

 

 

[심사평] 고통을 긍정으로 극복하는 힘 돋보여

 

최종심까지 논의된 작품은 김강산의 천렵’, 김연아의 밤의 지평선 아래’, 김중곤의 불알을 끼우며’, 문정의 하모니카 부는 오빠4편이었다.

 

이 중 천렵은 천렵의 의미가 은유화되지 못하고 지극히 식상하다는 점에서, ‘밤의 지평선 아래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힘이 약하다는 점에서, ‘불알을 갈아 끼우며는 해학적이라는 장점은 있으나 산문성이 강하다는 점에서 각각 제외되어 자연히 하모니카 부는 오빠가 당선작으로 결정되었다.

 

당선작 하모니카 부는 오빠는 현실적 고통을 고통스럽다고 말하지 않고도 고통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데에 큰 장점이 있는 시다. 그리고 그 고통을 아픔으로 느끼게 해주는 게 아니라 극복할 수 있는 아름다움이나 힘 같은 것으로 느끼게 해주는 미덕이 있는 시다.

 

그래서 이 시는 전반적으로 화사하다. 그렇지만 그 화사함이 추하거나 가볍지 않고 따뜻하고 정답다. 진솔하고 꾸밈 또한 없다.

 

마치 한 소녀의 입을 통해 끊임없이 꿈과 희망의 속삭임을 듣는 것 같다. 현실 인식의 시들이 대체로 부정적이고 어두운 데 반해 이 시는 긍정적이고 밝다.

 

캄보디아에서 온 한 노동자의 삶을 이야기하면서도 그 삶 속에 있는 킬링필드의 고통조차도 모성으로 승화시키고 있는 아름다운 부분이 있다. 앞으로 큰 시인으로 성장해나가길 기대해본다.

 

심사위원 오세영, 정호승 시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