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무등산송 / 범대순

 

 

우리가 무등산이 좋은 것은

눈을 감아도 그 동서남북

서서 바라보는 자리가 화순인 듯 담양인 듯

광주 어디 서서 보아도 크고 넉넉함이며

우리가 무등산이 좋은 것은

춘하추동 계절 없이 넘어선

언제나 붉은빛이 푸른빛이고

옛날이나 지금이나 다만 자색의 꿈

우리가 무등산이 좋은 것은

알맞게 높고 알맞게 가난하고

그 안에 수많은 장단과 고저

역사가 바위가 되고 흙이 된 긴 이야기

평생 한 번만이라도 원노니

낮에도 별들이 내려와 노는

너덜겅같이 밤에도 태양이 뜨는

침묵이 바로 함성인 큰사람 같이

 

 

 

무등산

 

nefing.com

 

 

광주에서 태어난 시인 범대순 시인은 1958<문학예술>에 시 '승무'로 널리 알려진 조지훈 선생 추천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광주광역시에서 주로 활동했던 시인은 올 1월 무등산에 대한 사랑을 담은 시집 <무등산>으로 제12회 영랑시문학상을 받았다.

 

이번 시집은 범대순 시인이 평생동안 1,100번의 무등산 산행 그 가운데 160번의 허락된 정상 1,100고지 서석대 등정의 기록이기도 하다. 그러나 여기 숫자는 그의 말에 따르면 숫자가 아니라 스토리다. 그 속에는 무모하게 홍수를 이기려다 119의 도움으로 겨우 살아난 이야기, 영하 30°C 하의 서석대, 섭씨 35°C 하의 산행으로 심장의 모터가 꺼질 뻔한 이야기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남도의 원로시인 범대순 시인은 동양정신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서양적인 감수성과 모더니즘 시 방법을 결합함으로써 한국 현대 서정시에서 독특한 개성의 영역을 개척해왔다. 또 공동수상자 김종철 시인은 실존적 삶의 성찰과 존재론적 생의 인식을 신성사적 지평으로 확대하고 고양해 온 역량 있는 중진 시인이다.

 

한편, 12회 영랑시문학상 수상자 두 분이 올해 타계하여 강진의 문인들은 물론 문단 안팎에서 안타까운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12회 영랑문학제 때 시상하기로 결정한 두 시인 중 먼저 범대순 시인이 타계한 데 이어 김종철 시인까지 5일 오후 타계했다.

 

영랑기념사업회 김창한 회장은 세월호 사건이 터졌을 때 영랑문학제를 취소하자는 일부 이사들의 의견도 있었고, 시상만 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면 단위 행사까지 취소하는 분위기에서 군과 협의를 하는 등 다각적으로 고민을 많이 하였다면서 내년 행사에 시상할 계획이었는데, 두 분의 수상자가 올해 타계하셔서 뭐라고 위로의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김창한 회장은 5일 조화를 보내 유족들을 위로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