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윈도우 스트라이크 / 김미향

 

아파트 20층 유리창은 새의 반환점,

인증 샷을 찍듯 여기저기 새의 낙관이 찍혀 있다

새의 시력은 사력을 다해도 원시안이어서

한 마리의 새가,

창문을 창공으로 오독한 것일까

새들이 머리로 유리창을 읽다 아예 산문散文이 돼버린다

저렇게 혼신을 다해 심독하는 몰입도 있다니,

마침표 하나를 찍기 위해

얼마나 꾹꾹 눌러 썼으면 부리가 다 구부러졌을까

창문에 부딪혀 길바닥에 부사副詞처럼 떨어져 있는 새들

공중의 사후를 본다

창가에 앉아 책갈피에 꽂아 둔 압화를 화분에 옮겨 심는다

이렇게 높은 데서 뿌리내리기도 힘든데 꽃이라고 피겠어?

라고 누군가 하는 말을 귓등으로 흘려보내는 사이

또 한 마리의 새가,

금이 간 공중의 틈으로 햇빛이 쏟아지고

화분에 물 대신 햇빛이 듬뿍 뿌려진다

새의 날개에 긁힌 자국이 햇빛에 선명하게 나 있다

새의 후생이 햇빛에 착상되는 거라고 생각하는데

또 한 마리의 새가,

유리창의 실핏줄을 이렇게 가까이서 보긴 처음이다

새의 붉은 울음을 필사하느라 구름이 잠깐 뒤뚱거린다

유리창에 새가 노크될 때마다 조의를 표하듯 펄럭이는 커튼

베란다 화초에 슬어 있는 햇빛을

새의 눈물을 닦아 주듯 수건으로 닦아내는 동안에도

또 한 마리의 새가,

창문을 열고 압화押花를 담담하게 날려보낸다

창밖엔 압조押鳥가 땅의 갈피에 차곡차곡 쌓인다

*윈도우 스트라이크 : 새가 투명한 창문 등에 부딪혀 죽는 현상

 

 

 

 

[당선소감]

언젠가부터 시 앞에 경건해지고자 마음 다독이기 시작했다. 행간에 힘을 주기보다는 붓끝에 힘을 주다가 행간을 비워 두던 날들이 많았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늘 사유의 맨 첫 행인 나를 비워 두자 글이 채워지기 시작했다. 머리맡에 수북이 쌓여 있는 문장들을 하나하나 퍼즐 맞추듯 나열해 보는 일, 언젠가부터 그런 내가 낯설지 않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어깨에 힘을 빼자 헐거웠던 행간이 채워지기 시작했지만 팽팽하지는 않았다. 호흡이 편안해져야 문장이 단단해진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오늘도 나는 나를 썼다 지웠다 빈 여백을 한참 바라보기도 해본다.

티브이를 보면서 고층 건물 유리창에 부딪혀 죽는 새의 부고가 자막으로 흘러가는 동안 화면에는 새들의 화려한 일생이 상영되고 있었다. 공중엔 격벽과 직선과 곡선이 너무 많아서 하늘을 날 때 원하지 않아도 곡예를 해야 하는 새들의 우여곡절에 대해 잠시 생각해보았다. 지금 창밖을 날아가는 저 새들이 왔던 길을 찾아 되돌아올 수 있을까. 각박해지는 환경 속에서 삶이 힘겨워지는 만큼 더불어 상생해야 하는 땅과 바다와 하늘의 주주들의 고단한 궤적들. 사람과 환경이 함께 공존해야 하는 생태계를 지키는 데 어떤 심혈을 기울여야 할까. 코로나19로 모든 것이 위협받는 재앙에 대해 우리는 어떤 해답을 갖고 미래를 대비해야 할까도 생각해본다.

평택 생태시 문학상을 습작하면서 생태계의 위기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주위에 산재한 훼손의 사유들을 백지에 꾹꾹 눌러 적으며 어떻게 그 간절함을 호소해야 할지, 고발과 자책보다는 치유와 설득에 더 절실함을 가지고 써내려간 시들. 습작 내내 마음이 무거웠다. 한참 부족한 사유에 관심을 가져주신 평택문인협회 생태시 문학상 심사위원님들께 감사드리며, 생태시 문학상 수상자로서 좀 더 진정성 있게 환경을 생각하고자 한다. 코로나19의 어려움 속에서도 늘 문학에 대한 열정을 함께 해 준 문학동인들, 가족들과 이 기쁨을 함께 하고 싶다. 글 앞에 늘 진지한 자세로 스스로를 지켜보며 정진하겠다.

 

 

 

 

[심사평]

39년 만의 늦장마라고 한다. 올해는 유난히 비가 잦다. 바람과 우박을 동반한 집중폭우다. 불과 몇 해 전만 해도 강이나 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내면서 폐사한 어패류들과 거북이 등처럼 갈라진 농경지가 극심한 가뭄을 여실히 보여주었는데 작년에는 큰비로 곳곳이 수해를 입었다. 해를 거듭할수록 기상이변이 잦다. 지구의 온난화에 따른 생태환경의 변화와 자연환경 훼손과 무분별한 개발 등 문제점들이 대두되는 가운데 생태시에 대한 문인들의 관심과 열정도 뜨겁다.

 

나무와 바다를 주제로 다룬 작품이 많다. 바다에 버려진 쓰레기들이 바람과 해류의 순환으로 한 곳에 모이게 되어 쓰레기 섬이 형성되었다. 북태평양 바다 위의 거대한 쓰레기 섬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는 우려 섞인 목소리와 해양 오염으로 인해 생태계가 파괴된 고래들의 수난사를 다룬 작품이 다수 있었다.

 

예년에 비해 응모자가 많아 두 차례의 예심과 본심을 걸쳤고 당선자를 결정하는데 신중을 기했다. 논의 끝에 김미향의 〈윈도우 스트라이크〉선정했다. 새가 아파트 20층 유리창에 부딪혀 죽는 상황을 밀도 있게 그린 작품이다. ‘창문을 창공으로 오독한 새가 마침표를 찍기 위해 얼마나 꾹꾹 눌러썼으면 부리가 다 구부러졌을까? 새의 눈물을 닦아주듯 수건으로 닦아내는 동안에도 또 한 마리의 새가, 새의 붉은 울음을 필사하느라 구름이 잠깐 뒤뚱거렸다’ 는 표현에서 보듯 방음벽이나 유리창에 부딪혀 죽음을 맞는 새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섬세한 필치와 이미지로 잘 그려냈다. 함께 응모한 〈남방큰돌고래의 눈물〉〈新젤리피시〉도 당선작에 못지않은 수작이다.

 

마지막까지 거론되었던 작품으로 〈신데렐라 샤우팅〉은 ‘시베리아에는 시베리아 호랑이가 없어요.’ 하는 목소리로 강한 인상을 남겼고 〈우리가 실개천에 대해 이야기 하지 않는 동안〉은 실개천으로 흘러드는 폐수로 인해 오염되는 하천과 죽어가는 물고기의 죽음을 잔잔하게 그려냈다. 〈GPGP〉는 하와이 북동쪽에 있는 쓰레기 섬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위기에 처하고 인간의 삶이 흔들리고 결국은 하나뿐인 지구를 살릴 거야? 말 거야? 하는 물음을 던지는 작품이다.

해를 거듭할수록 생태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수준 높은 작품이 많아서 심사자들을 기쁘게 한다. 생태환경에 대한 문제의식 제기와 지구 변화에 따른 위기의식, 자연환경 파괴로 인한 일상의 위협 등 생태시의 특징이 잘 드러나고 주제가 선명하고 언어를 응축하는 힘과 사물과의 교류가 뛰어난 작품을 선정했다.

 

제9회 생태시문학상을 차지한 김미향님께 축하를, 수상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지구 생태계에 대한 관심과 뜨거운 열정으로 훌륭한 작품을 보내준 분들에게 감사드린다.

심사위원 성백원, 배두순 김영자 김복순 한인숙 진춘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