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문학상/천상병시문학상

제17회 천상병시문학상 / 김희업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로 2021. 7. 25. 21:26
728x90

 

 

비의 목록 / 김희업

 

 

손바닥에 닿으면 부러지는 연약한 비

비가 거리의 목록에서 노점을 지웠다 오늘은

가난하게 보이지 않을 것이다

우산을 펴자 비가 우산 위로 사납게 달려들었다

우산은 우산 크기만큼만 비를 가려주었다

온다는 소리 없이 집집마다 비가 다녀갔다

섭섭하지만 비를 뒤쫓아갈 필요가 없었다

훗날을 기약하며 보내주기로 했다

비를 모금함 속에 모아두는 엉뚱한 사람은 없을 테니까

사람을 불러 모으는 재주를 가진 노점이 사라진 사이

얼마나 많은 사람이 비에 스며들었는지

한산한 거리가 비로 시끌벅적했다

비에 쫓겨난 봄꽃은 어디서 보상받을는지

생계가 막막해진 봄꽃이

뿔뿔이 자취를 감추었다

손바닥에 닿으면 부러지는 연약한 비에도

바퀴의 노동은 멈추지 않고, 내일도 모르고 앞만 향해 자꾸

달려간다 이런 날, 바퀴도 없이 미끄러지는 사람이 꼭 있더라

저만치 자신을 내팽개치는 사람을 보고 있으면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비가 거리의 목록에서 이제 웃음조차 지우려 한다

오늘은 비의 목록에 따뜻한 위로가 추가되어야 할 것 같다

 

 

 

 

비의 목록

 

nefing.com

 

 

(사)천상병시인기념사업회와 천상병시상운영위원회(위원장 정호승)에서 선정하는 2015년 <천상병詩賞> 올해17번째 수상자로 시인 김희업이 선정됐다. 수상작은 시집 ‘비의 목록’(창비 2014)이다.


천상병시상 심사위원회는 5명의 심사위원들이 등단 10년 이상의 시인 가운데 2014년 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출간된 시집을 대상으로 1차 심의와 본심을 거쳐 선정된 시집 4권 중에서 천상병시상에 가장 부합되는 시적 성취를 낸 작품과 꾸준한 시적 활약이 기대되는 시인으로 김희업 시인의 ‘비의 목록’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심사위원단은 “고독과 상처의 일상 너머를 예리하게 투시하며 새로운 ‘시적 희망’을 불어넣으려는 리얼리스트적 상상력이 뛰어난 시집”이라고 평하며 “최근 시단의 시적 경향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일상을 냉정히 응시함으로써 추구하는 시적 희망이 천상병 시인이 추구한 바 있는 비타협의 시정신과 닿아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김희업 시인은 첫 시집 ‘칼 회고전’에서 상처로 얼룩진 고독한 몸의 세계와 존재에 깃든 고통과 억압의 역사를 탐색했다면, 두 번째 시집 『비의 목록』에서는 삶의 이면을 내밀한 시선으로 응시하는 ‘리얼리스트적’ 태도를 견지하면서 언어적 기지를 살려 사물과 삶의 중핵을 파고드는 관조와 성찰의 시편을 선보이고 있다.

천상병시상 시상식은 <제12회 천상병예술제> 기간인 4월 25일(토) 오후 4시 의정부예술의전당 국제회의장에서 열린다.

김희업(金熙業) 시인▷1961년 서울에서 태어나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1998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칼 회고전』과 『비의 목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