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시산맥신인상(서영택)
겨울 폐가 외 4편
보름달이
시린 발을 눈 속에 푹, 푸욱 담은 채 오들오들
해안 경계선에서 보초를 선다
한파를 못 견딘 늙은 별들은
저체온에 동사하였고 눈치 빠른 별들은 몸을 녹이려
주인 없는 폐가를 찾는다
구안와사에 걸린 마루가 삐걱거리며 구멍 뚫린 천정을
올려다본다
차가운 구들 위 넘어진 양말 한 켤레가 따뜻하다
퀴퀴한 곰팡이 냄새가 끼어들고
여독 풀리지 않은 바람이 끄덕끄덕 안방을 넘나든다
힘겹게 매달려 있던 녹슨 경첩이 풀썩, 문짝을 내려놓는다
몸을 녹이려고 바람을 따라 손님이 들어온다
별이 깨진 술잔에 잠들어 있다
겨울 폐가는 취해야 잠든다
자폐
화단을 정리하면서 꽃 한 그루 남겨두었다
혼자 서 있기에 지주목을 세워주었다
가지를 붙잡고 오르는 눈매가
담쟁이인가 했더니 어느 날 꽃이 피었다
실가지 늘어뜨린 능수버들을 닮았던가
봄꽃 피고 입하 지나도록 게으름 피워
눈길 한 번 안 주었더니 저리 고운 꽃 피우려고
내공을 홀로 키웠구나
제철 만난 것같이 붉은 볕으로 씩씩하다
바람결에 흩날리고
적황색 치맛자락 뒤집어쓰고 있다
담장을 붙잡고 붉은 꽃등을 켜는 능소화야,
가을이면 고향 꽃밭에 옮겨 심는다는
그 꽃말 잊지 않으려고
마음 한켠에 옮겨 심는다
독(毒)
1.
날름거리는 가늘고 검은 혀, 타원형의 눈을 꿈에서 본 적 있다
생각만 해도 징그러운 뱀은 산에서 흔히 본 것이다
머리에 점이 일곱 개 등에 검은색 가로줄 띠가 길다 치켜 뜬 놈의 눈과 콧구멍 사이의 홈이 틀림없는 칠점사다 턱에 난 독아(毒牙)가 날카롭다 살무사 가운데 가장 무서운 독을 지닌 놈의 눈빛, 사납게 날 쏘아보는 바람에 생각을 놓칠 뻔 했다
신경독을 가졌다는 칠점사는 물리면 일곱 발짝 밖에 갈 수 없다는 맹독성을 가졌다 일화로 손가락을 물린 폐암환자가 완치되고 그 자리에서 죽은 뱀이 칠점사다
2.
산길, 사람을 피하려다가 쇠꼬챙이에 머리가 눌려 붙잡혔다
좁은 그물 안에서 기다란 몸이 꽈배기처럼 꼬였다 꼬불꼬불 산길처럼 베베 꼬인 칠점사 위엄, 사람의 손모가지에 꽉 잡혔다 올려다 본 하늘 어지럽게 흩어진 구름들 숲의 나무들 풀잎들 바람에 스친다 사위가 독처럼 숲을 감고 돈다 혀를 깨문다 흘러드는 맹독 부드럽게 몸을 파고 든다 달콤한 감각이 고통을 달랜다
나는 공격하지 않았다
커다란 발이 오수를 깨웠다 나는 산 속의 은둔자였다 푸른 숲을 거처로 한 나의 휴식은 끝났다 숲은 사람의 거처가 아니다 독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의 葬歌
등 뒤에서 부는 출처를 모르는 바람의 葬歌
풀들 먼저 엎드리고 죽음을 예감한 임팔라들 사방으로 뛰어요
멀리서 다가오는 회색눈동자 심장이 피를 품어요
불안은 오른쪽으로 달리고 놈은 왼쪽에서 달렸들어요
어느 갈림길에서 생사가 갈리겠지요
치타의 무기가 속도라면 리카온은 지구력이라네요
빠르고 오래 달리는 놈 앞에서 긴 목이 널브러지네요
둔부에 커다란 톱날이 박힌 통증을 아나요
통각을 잊고 내 것이 아닌 몸,
놀란 호흡이 스타카토처럼 끊겨가네요
葬歌가 노을에서 먼저 흘러나오네요
몸의 부피가 줄어가고 코끝으로 스며드는 마지막 초원의 냄새!
생의 끝에 후각만 남네요 바람이 털을 쓰다듬고 이젠 아프지 않아요
공양도 자비도 공포를 떠나요 두려움을 모르는 날이네요
존재가 항문을 빠져나가면 소멸이겠지요
죽음의 과녁은 과녁이라 부를 수 없어요
한 번 꽂히면 과녁은 사라지는 것이니까요
마사이 마라 초원의 바람 속에서 葬歌 노래가 끝나가네요
꼬리 아홉 개 달린 비
검은 구름 광속으로 달려 나간다
동쪽 방향이다
쪽 마루에 햇빛, 격자창을 두드린다
삼바 리듬 물방울무늬다
마당 뒤꼍에 번졌다가 멀어지는 햇빛물결
아홉 개의 줄무늬가 그려져 있다
물방울무늬가 도르르 말린다
햇빛 줄기가 만져진다
순간이동이다
화단을 뛰쳐나온 능소화가 바람에 몰려다닌다
급보일까
생각의 틈새로
아홉 가닥의 빗줄기 와락, 쏟아진다
부풀어 오르는 꽃등의 점막
신발을 벗는다 발등을 쓰다듬는 햇빛
손이 따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