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달진문학상 운영위원회는6일'어리신 어머니'의 저자 나태주 시인을 시 부문 수상자로, '아라리의 기원을 찾아서'연구를 진행한 전경욱 교수를 학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나태주 시인은1945년 충남 서천 출생으로 시초초등학교와 서천중학교를 거쳐1963년 공주사범학교를 졸업했다. 1964년부터2007년까지43년 동안 초등학교 교단에서 일했으며 정년퇴임 시 황조근정훈장을 받았다.
197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후 이때까지41권의 창작시집을 펴냈다.
수상소식을 접한 나태주 시인은"월하 김달진 선생께서 저 너머서 미소로 바라보는 것 같다. '오래 견뎌라,잘 참아라,갈 데까지 가보아라'라고 선생께서 타이르는 것 같다"며"나도 이제는 어쩔 수 없는 사람이다.이만큼 견뎠으니 긴 인생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장생,그 길에 문자의 방법밖에는 달리 길이 없음을 안다.열심히 쓸 때는 이미 지났다.죽을 둥 살 둥 써야 한다.가는 데까지는 가보겠다.감사하다"고 말했다.
전경욱 교수는 1959년 출생해 서울 미동초등학교와 한성중학교, 동국대 부속고교 등을 거쳐 1978년 고려대 사범대 국어교육과에 입학했다. 1978년 당시 중요무형문화재 제15호 북청사자놀음 인간문화재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탈춤에 입문해 북과 장구를 연주했다.
1982년에는 탈춤 연구를 위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설 한국학대학원 석사과정을 밟았다. 이후 국립민속박물관 임시직 연구원, 창문여고 국어 교사 등을 거쳐 고려대 사범대 국어교육과 교수로 부임해 현재까지 근무하고 있다.
'한국의 전통연희', '한국의 가면극', '동아시아 가면극의 역사와 전승양상' 등을 출간했고, 문화유산 보호 학술 부문 대통령 표창을 받은 바 있다.
전 교수는 "2010년 9월 중국 복건성 천주의 인형극에서 노래하는 구음을 들은 이후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해 10년 만에 결실을 맺었다"며 "매년 한두 편씩 논문을 발표하면서 정말 신나게 작업했다. 기존 연구가 없었던 새로운 영역의 개척이라 자료를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을 들였지만 그만큼 스스로 만족감도 높았다. 2020년도 김달진문학상에 선정해주셔서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오는 9월18일 오후 4시 경남 창원 김달진문학관 생가마당에서 열린다. 이에 앞서 오는 10일 오후 6시 서울 지하철 3호선 매봉역 2번 출구 마켓 오 2층에서는 김달진문학상 기념 시낭독회가 진행된다.
제39회 김수영 문학상에 이기리(26) 작가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김수영문학상 수상자로 등단하지 않은 신인 작가가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민음사는 16일 "올해에는 191만명이 약 1만편의 시를 응모했다. 예심을 거쳐 본심에 오른 여섯 작품 중 내밀한 경험에서 출발한 시편들이 인상적이었던 '그 웃음을 나도 좋아해' 외 55편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심사위원단은 이기리 시인 작품에 대해 "과거의 상처를 망설임 없이 드러내고 마주하는 용기가 돋보였다" "세상을 바라보는 자신만의 내공과 고유한 정서적 결이 느껴진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줬다" 등의 평을 받았다.
수상자 이기리 작가는 "나의 세계가 언어로서 이 세계를 조금이나마 넓힌 기분이다"라며 "언어가 가진 불온한 속성을 나는 꽤 오래 사랑해야만 할 것 같다. 믿음의 외연을 더 단단하게 만드는 일에 동참하게 되어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그는 "좋은 사람이 되겠다고 하면서 대체 어떤 사람이 좋은 사람인지는 알지 못했다. 추상적인 실체를 상상하며 계절이 바뀔 때마다 나는 참 못나기만 했고 창가의 오후에 기대 쓴 시들엔 나약하고 초조한 화자들이 줄곧 등장했다. 일기장은 나를 미워하기 가장 좋은 공간이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비가 소록소록 내리던 어느 여름밤, 라디오를 들으며 시에 나오는 한 구절을 입이 닳도록 발음했던 날을 기억한다. 시는 내 삶에 물방울들이 천천히 창 아래로 모이듯 다가왔다. 이후 모든 형태의 글쓰기가 내 속의 아픔들을 조금씩 소분하고 있었다. 아무도 상처받지 않기를, 또 아무에게도 상처 주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출발한 여정이 길어지고 있다"고도 했다.
이기리 작가는 1994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추계예대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수상자에는 상금 1000만원이 수여된다. 또 연내 수상 시집이 출간될 예정이다.
김수영문학상은 1960년대 자유와 저항정신의 대표적인 참여시인 김수영의 문학 정신을 계승하고 후진 양성을 위해 1981년 제정된 시문학상이다.
민음사는 김수영문학상 주관사로, 매년 한 명의 시인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2006년부터는 등단하지 않은 예비 시인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조언하겠습니다. 이름이 없는 사람은 말이 없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편견이 대화를 거절한다면, 편견의 노예에게, 편견은 편견이 없다는 편견에게, 똑같은 방식으로, 삿대질하라고!
"나에 대해 묻는 나는 왜 괴물입니까?"
그러니까, 왜, 나는 없는 이름입니까?
나는 낮 없는 밤입니다. 밤을 찢으면 낮입니까?
밤입니까? 뺨입니다.
뺨! 한 뼘 한 뼘, 짜깁기한, 후려치면, 팽그르르, 동서남북 마구마구 도는 나침반 같은, 뺨, 순간, 튀어나온, 핏줄과 핏줄로 뜬, 혓바닥들, 눈동자들,
선을 긋지 말아 주시겠습니까?
혓바닥들, 눈동자들, 한뼘한뼘,
믹서기에 넣고 돌리겠습니다.15)
내가 만든
벼락소리
들으며 돌리며
나는 마구마구 피뢰침입니다. 완벽하게 뒤틀린 얼굴입니다.
일부러 부러뜨린 갈비뼈인 나는 빨강을 6이라고 6을 무덤이라고
말하겠습니다.
"순진한 척해야 하는 건 질렸다."고. "불순한 척해야 하는 건 질렸다."고.
무덤의 식물성으로 무덤의 독백으로 무덤의 침착함으로 악착같이
"경멸하겠다."고 말하겠습니다. 경멸은 냉혹해서 낭만적이므로
낭만적으로 흉측함으로
관통하고 싶습니다. 피를 뿌리겠습니다!
피의 책
그리하여 벼락에 맞고 맞아 수많은 못이 박혀 있는 200개의 심장이 짜깁기될 수 있었습니다.16) 살아남은 나의 뇌를 피뢰침 삼아, 다시 벼락을 덧대겠습니다.
이번에는 택배사무소입니다. 아직도 남자의 이름으로 살고 있는 여자들을 위해,17) 명명할 수 없는 것을 이름 짓는 이 이름 없는 방식으로18) 짜깁기된 201개의 심장을 보내 드리겠습니다. 아름답지 않은 방식으로 짜깁기된 피의 책을,19)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평범한 방식으로 짜깁기된 피의 책을,20) 보내 드리겠습니다.
이번에는 벼락을 꽉 붙잡고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까21?
⸺⸺⸺⸺⸺⸺⸺⸺⸺⸺
1) 윌리엄 고드윈(William Godwin)은 딸을 출산하다 죽은 아내를 기리는 마음으로 아내의 이름으로 딸의 이름을 지었다. 그런 연유로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고드윈 셸리(Mary Wollstonecraft Godwin Shelley)는 어머니의 이름이면서 딸의 이름이기도 하다. 학자들은 편의상 어머니를 메리 울스턴크래프트(Mary Wollstonecraft)로 딸을 메리 셸리(Mary Shelley)로 부른다. 나는 블루스타킹 서클(Bluestocking Circle)의 지원을 받아 쓴 「마구마구 피뢰침」을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고드윈 셸리(들)에게 헌정하고자 한다. 2) 이름 없는 여자들이 있었다. 17세기, 여자에게 교육 받을 기회를 제공하고 여자의 사회 참여를 장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었지만 그것은 엄연히 교양 형성의 문제였다. 여자는 전문 지식인은 될 수 없다는 것이 계몽주의자들의 주장이었다. 글을 쓰는 일은 남자의 영역으로 간주했는데, 특히, 직업적으로 글을 쓰는 작가들은 펜(pen)을 남자의 무기인 페니스(penis)에 비유할 정도로 남자만이 누릴 수 있는 권력이라고 생각했다. 영국에서 여성 시인 최초로 시집을 출간한 앤 핀치 윈칠시 백작부인(Anne Finch, Countess of Winchilsea)은 여자들이 "바보로 태어났다기보다는 바보로 교육"되었다고 분개하며, "글을 쓰고자 하는 여자는" 남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어떤 미덕으로도 회복될 수 없"으며 "소용없는 어리석음", "주제넘은 잘못"으로 여겨져 "주제넘은 피조물로 간주"당한다고 비판했다. 그녀는 1701년 이름을 밝히지 않고 시집 『Spleen』을 출간했으며, 1713년 여자라고 밝힌 후에야 이름을 밝힐 수 있었다. 당시 여자들은 글 쓰는 것을 조심스러워했고, 글을 쓰는 대부분의 여자들은 익명으로 글을 발표하거나 남자 이름으로 글을 발표했다. 일레인 쇼왈터(Elaine Showalter)는 당시 여성 작가들이 이중적인 문학 기준에 대처하기 위한 방편으로 남자 이름을 썼다고 보았다. 독일의 최초 여성 소설가인 조피 폰 라 로슈(Sophie von La Roche)는 1771년 『슈테른하임 아씨 이야기(Geschichte des Fräuleins von Sternheim)』를 출간할 때 이름을 밝히지 않고 문학적으로 영향을 많이 받았으면서 책의 편집자이기도 했던 빌란트(Wieland)에게 서문을 부탁했다. 빌란트는 서문에 "나의 친구인 그녀는 세상을 위해 글을 쓰거나 예술작품을 만들어낼 생각은 결코 하고 있지 않다."라고, 썼다. 그녀는 『슈테른하임 아씨 이야기』 출간 후 친구에게 다음과 같이 토로한 적이 있다. "사람들은 여자들이 책을 쓰는 것을 이성에 어긋난 죄를 짓는 것으로 여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돌려서 이렇게 말한다. 여자가 소설가가 되는 것은 너무 따분해서라고. 내가 바르트하우젠 생활을 견디기 힘들어하고 또 딸들을 연달아 수녀원으로 보내지 않을 수가 없었기 때문에 속상해서라고." 시인인 카롤리네 폰 귄더로데(Karoline von Günderode)는 1804년 『Gedichte und Phantasien』을 출간할 때 티안(Tian)이라는 남자 이름을 썼다. 그녀는 일기에 "나는 왜 남자가 되지 못하나!" "나는 이렇게 살아갈 것이고 살아가야만 한다. 왜냐하면 나는 여자이기 때문이다."라고, 토로했다. 크리스타 볼프(Christa Wolf)는 귄더로데의 서간집을 읽고 "저항의 작업"으로 그에 대한 소설을 쓴다. 크리스타 볼프의 소설 『어디에도 설 땅은 없다(Kein Ort. Nirgends)』에서 귄더로데는 "여자 귄더로데(Die Frau, Günderode)"로 표현되어 있고 남자인 클라이스트는 "한 인간 클라이스트(Einer, Kleist)"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는 귄더로데가 살았던 시대를 반영한 것이다. "여자 귄더로데"는 남자 이름으로 시를 발표한다. "한 인간 클라이스트"는 "여자 귄더로데"가 시를 쓰는 것에 대해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시를 쓴다는 이유로 "여자 귄더로데"는 여자에 어울리지 않는 사람이 된다. 샬럿 브론테(Charlotte Brontë), 에밀리 브론테(Emily Jane Brontë), 앤 브론테(Anne Brontë) 자매는 각자 커러 벨(Currer Bell), 엘리스 벨(Ellis Bell), 액턴 벨(Acton Bell)이라는 남자 이름으로 1846년 『커러, 엘리스, 액턴 벨의 시집(Poems by Currer, Ellis and Acton Bell)』을 출간한다. 1847년 샬럿 브론테는 커러 벨이라는 가명을 유지한 채 『제인 에어(Jane Eyre: An Autobiography)』를 출간했고, 1849년 에밀리 브론테도 엘리스 벨이라는 가명을 유지한 채 『폭풍의 언덕(Wuthering Heights)』을 출간했다. 샬럿 브론테가 1849년 출간한 『셜리(Shirley:A Tale)』는 기존에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이름에 대한 인식을 깬 것으로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소설의 인기로 인해 그동안 남자 이름으로 쓰여 왔던 셜리라는 이름이 여자 이름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소설에 나오는 다음 대목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나는 지주다! 지주 셜리 키일다가 나의 스타일이고 나의 직함이 되어야 한다. 그들은 나에게 남자의 이름을 주었다. 나는 남자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나에게 남자다움을 충분히 느끼게 한다." 소설가 조지 엘리엇(George Eliot)의 본명은 메리 앤 에반스(Mary Anne Evans)이다. 남자 이름을 필명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활동 초반 사람들은 그녀를 남자라고 생각했다. 그녀는 데이비드 프리드리히 슈트라우스(David Friedrich Strauss)의 『예수의 생애(The Life of Jesus)』를 번역할 당시 폴리안(Polian)이라는 이름을 썼다. ≪웨스트민스터 리뷰(Westminster Review)≫에서는 채프먼을 편집장으로 내세웠기 때문에 그녀는 부편집장으로 있었다. 1860년 출간한 『플로스강의 물방앗간(The Mill on the Floss)』은 그녀의 자전적인 소설이다. 여자들은 무엇이나 조금씩은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회에서 여자들이 할 수 있는 적당한 역할이 무엇일까? 의문을 던지는 매기는 라틴 문구 "죽음은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인 것이다."에 관심을 가진다. 여자가 남자와 같은 입장이 될 수 있는 때는 죽음밖에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3) 이름이 없어서 존재를 부정당한 여자들이 있었다. 메리 셸리는 1818년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을 처음 출간했을 때 이름을 밝히지 못했다. 시인이자 그녀의 남편인 퍼시 셸리(Percy Bysshe Shelley)가 서문을 썼는데, 그는 서문에서 소설을 쓴 계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두 명의 다른 친구들과 나는 초자연적인 사건을 토대로 각자 이야기를 써보기로 동의했다." 소설을 쓴 메리 셸리와 그 자리에 같이 있었던 클레이몽이 없는 사람 취급을 당했다는 것은 2판에서 메리 셸리가 서문을 쓰면서 밝혀진다. 그녀는 소설을 쓴 계기를 다음과 같이 밝힌다. "'우리 각자가 유령 이야기를 쓰기로 하지.' 바이런 경이 제안했다. 우리 모두 그의 제안에 동의했다. 그 자리에 네 사람이 있었다." 여자는 남자처럼 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회였다. 여자는 남자처럼 될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한 인간으로도 받아들이지 않는 사회였다. 여성 작가는 괴물 같은 존재로 취급하는 사회였다. 그래서 어떤 연구에서는 『프랑켄슈타인』에 등장하는, 죽은 인간들의 살과 뼈로 만들어진 이름 없이 존재하는 괴물이 메리 셸리를 의미한다고 보기도 한다. 프랑켄슈타인이 죽은 인간들의 살과 뼈를 모아 괴물을 만들었듯, 메리 셸리가 어머니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에게 영향을 받아 『프랑켄슈타인』을 썼다고 보는 것이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가 작가이자 여성운동가인 점이 그런 해석에 밑바탕이 되었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자는 남자를 기쁘게 하기 위해 존재하며, 여자의 교육은 독자적으로 기획될 수 없고 남자와의 관계에서 기획되어야 하며, 남자에게 복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루소와 계몽주의자들의 의견에 반박해 1792년 ?여성의 권리 옹호(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를 출간했는데, 첫 출간 때는 이름을 밝히지 못했고, 2판에서 이름을 밝힐 수 있었다. 4) 메리 셸리가 밀턴(John Milton)의 『실낙원(Paradise Lost)』에 등장하는 인간을 빌려 『프랑켄슈타인』을 썼으나 그와는 전혀 상관없는 괴물을 탄생시켰듯 나는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에 등장하는 괴물을 빌려 「마구마구 피뢰침」을 썼으나 그와는 전혀 상관없는 괴물을 탄생시켰다. 괴물을 때때로 악마라고 부르는 것 역시 그와는 전혀 상관없다. 그러나 일부분 그 괴물의 환경에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부인하지는 않겠다. 5) 나는 혼자서 벼락을 맞으러 다닌다. 벼락을 맞고 살아난 사람들이 모여서 벼락을 맞으러 다니는 모임이 있는데 그중 가장 알려진 모임은 《아다드》이다. 《아다드》에서는 벼락을 맞을 준비를 하는 것을 "공포를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고 표현한다. (김영하, 「피뢰침」,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문학과지성사, 1998.) 6) 연금술 실험실은 두 권 책으로 비유되어 왔다. 연금술을 기독교적인 측면에서 옹호한 사람들로부터 신의 말씀이 담긴 경전(the Bible)이라고 비유되었다. 인간의 기술이 자연을 모방하는 것은 물론 자연을 완벽하게 하고 자연을 뛰어넘을 수도 있다고 주장하는 헤르메스주의를 옹호하는 사람들로부터는 신의 뜻이 담긴 피조물로서의 자연(the Book of Nature)으로 비유되었다. 나는 연금술 실험실에서 파생된 기상관측소를 신의 의도를 기록한 책으로 비유하고자 한다. 7) 나는, 벼락을 "꽉" 붙잡고 있을 수 있는 사람에게 피뢰침을 일 년에 한 번씩 구입한다. (허먼 멜빌, 「피뢰침 판매인」, 『세계문학단편선17』, 김훈 옮김, 현대문학, 2015.) 8) 세 개의 심장을 토대로 백구십칠 개의 심장을 짜깁기했다. 첫 번째 심장은 갈바니(Luigi Aloisio Galvani)의 것이다. 벼락을 동반한 비가 내리던 어느 날 갈바니의 부인이 개구리 요리를 준비하고 있었다. 갈바니는 벼락이 칠 때마다 도마 위에 잘려 있던 개구리 다리가 살아 있는 것처럼 움직이는 것을 발견했다. 그 발견에서 착안해 죽은 개구리 다리에 전기를 모으는 장치나 해부용 나이프 같은 금속을 닿게 했는데, 그때마다 스파크가 생기면서 개구리 다리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보고 전기는 동물의 뇌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했다. 이에 대해 1791년 발표한 「근육운동에 대한 전기의 효과에 대한 주석서(De Viribus Electricitatis in Motu Musculari Commentarius)」를 참고할 만하다. 갈바니는 이를 동물전기라고 불렀고, 후에 볼타(Alessandro Volta)는 갈바니즘이라고 불렀다. 두 번째 심장은 알디니(Giovanni Aldini)의 것이다. 알디니는 삼촌의 연구인 동물전기 이른바 갈바니즘에 몰두했다. 그는 1803년 1월 17일 런던의 뉴게이트에서 사형된 조지 포스터(George Forster)의 시체를 실험했다. 《The Times》에서 이 실험에 대해 보도했는데 다음은 참관한 관중의 인터뷰의 일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마치 남자가 부활하고 있는 것 같았다." 18세기 말에 런던에서 발간된 범죄사례 편찬서인 『Newgate Calendar』에서도 이 실험에 대해 언급했는데 다음은 그중 일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사망한 사형수의 턱이 떨리면서 얼굴 근육 전체가 끔찍하게 뒤틀리기 시작했다. 한쪽 눈꺼풀이 열렸다. 실험이 계속 진행되자 오른손이 올라갔고 다리와 허벅지가 움직였다." 세 번째 심장은 유어(Andrew Ure)의 것이다. 그는 횡격막을 자극하면 질식, 익사, 교수형으로 죽은 사람을 살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1818년 글래스고 대학의 해부학 강당에서 사형된 매튜 클라이즈데일(Matthew Clydesdale)의 시체를 실험했다. 다음은 그가 쓴 실험 기록을 간단히 정리한 것이다. "전류를 가하자 사형수의 얼굴 근육이 꿈틀거렸다. 분노, 공포, 절망, 괴로움, 소름끼치는 미소가 차례로 떠올랐다. 그 끔찍한 움직임에 참관했던 남자 한 명이 기절했고, 구경꾼 몇몇은 이곳을 떠나 이사를 가야 했다." 그는 교수형에 처해질 때 목뼈가 부러지지만 않았다면 죽은 시체를 살릴 수 있었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9) 나의腦를避雷針삼아 (이상, 「烏瞰圖 詩第七號」, 『이상문학전집 1』, 문학사상사, 1989.) 10) 코벤트리 페트모어(Coventry Patmore)는 1854년 시집 『집안의 천사(The Angel in the House)』를 출간했다. 아내 에밀리(Emily)에게 바치는 시집으로, 집안의 자애로운 어머니와 순종적인 아내의 모습에 대해 썼다. "집안의 천사"라는 말은 이후 빅토리아 시대에 이상적인 여성상으로 사용되었다.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는 19세기의 이러한 순결의식이 여성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쳐 여성 작가들이 이름을 밝히지 못하고 숨기게 만들었다고 보았다. 그리고 여전히 여성 작가들이 이름을 숨기고 정체를 감추어야 한다는 생각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한다. 버지니아 울프는 "집안의 천사"가 되기를 거부함으로써 작가로 자리 잡고자 하였다. 『자기만의 방(A Room of one's Own)』에서 무슨 수를 써서라도 여자들은 글을 써야 한다고 말하며, 여자들이 글을 쓰기 위해서는 독립할 수 있는 여건, 가령 자기만의 방과 500파운드 정도의 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교육을 받지 못하고 직업을 얻을 수도 없으며 재산소유권도 주장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집안의 천사"밖에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버지니아 울프는, 여자들이 "집안의 천사"를 거부함으로써,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물질인 것과 정신인 것 모두가 불가분의 관계에 있듯, 여성인 것과 남성인 것을 나누지 않고 화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버지니아 울프의 주장은 샬럿 브론테, 에밀리 브론테, 앤 브론테 자매 그리고 당시 수많은 여성 작가들의 고민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했다. 샬럿 브론테는 글을 쓰기 위한 여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토로한 적이 있다. "글을 쓰고 싶다는 우리들의 꿈은 계속 이어졌지만 현실 앞에서 한쪽으로 밀렸다. 먹고살 돈을 벌어야 했기 때문이었다. 여동생들과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직업은 두 가지뿐이었다. 교사가 되든지 가정교사로 돌아가든지. 그러나 두 직업은 내가 혐오하는 '얽매인 노역'이었다." 빅토리아 시대에 여자가 돈을 벌기 위해 할 수 있는 직업은 열악한 근로 조건의 직공을 제외하고 교사와 가정교사 같은 것으로 제한적이었다. 샬럿 브론테가 교사와 가정교사를 '얽매인 노역'이라면서 혐오했던 이유는 가정교사라는 직업은 안정성과 임금도 문제 되었지만 노동계급이면서 중산계급의 이상적인 여성성을 흉내 내어야만 하는 직업이기에 사회적 지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멸시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었다. 샬럿 브론테는 『제인 에어』를 통해, 앤 브론테는 『아그네스 그레이(Agnes Grey)』를 통해 실제 경험을 투영해 가정교사 문제를 담아냈다. 샬럿 브론테는 더 나아가 여자들이 남성 중심의 지배 구조에 투쟁하며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해 고민하며 『셜리』를 썼다. 11) 『프랑켄슈타인』에 등장하는, 죽은 인간들의 살과 뼈로 만들어진 이름 없이 존재하는 괴물은, 흉측한 모습으로 자신을 만든 사람에게서도 버려지게 된다. 버려진 채 집 안에 혼자 있던 괴물은 집 밖으로 뛰쳐나와 인간과 어울리고자 하지만 오히려 악마 취급을 받고 공격 받는다. 12) 영국 옥스퍼드 사전은 2018년 올해의 단어로 'toxic(유해한 또는 유독성의)'을 선정했다. 옥스퍼드딕셔너리 닷컴에서 'toxic' 검색이 작년 대비 45% 증가했는데, 문자 그대로 쓰이기도 했고, 은유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맥락('해로운 남성성(toxic masculinity)', '유해한 레토릭(toxic rhetoric)', '유해 공기(toxic air)' 등)으로 쓰이기도 했다. 'toxic'과 함께 가장 많이 쓰인 단어는 'chemical'(화학물질)'이고, 그다음은 'masculinity(남성성)'이다. '미투 운동(Me Too movement)'이 전 세계적으로 번지면서 '해로운 남성성(toxic masculinity)'이 같이 쓰인 것으로 보인다. 13) 나는 촛불로 밥을 짓는 어머니와 이름이 없는 자식에 대한 노래를 들은 적이 있다. 자식에게 이름이 없는 이유는 죽어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몸이 피뢰침에 걸려 있는 데다 암이 목구멍까지 올라온 상태이며 손톱이 빠지고 성기가 잘리고 목에 꽂힌 칼은 빠지지 않은 채 심장까지 도려내어진 상태로 죽어가는 자식을 보고도 어머니는 계속 촛불로 밥을 짓고 있는데 그것은 오히려 자식을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 노래를 복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비가 오기 시작하는데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날도 어두워지기 시작하는데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하늘이 죽어서 조금씩 가루가 떨어지는데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나는 아직 내 이름조차 제대로 짓지 못했는데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피뢰침 위에는 헐렁한 살 껍데기가 걸려 있는데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암이 목구멍까지 올라왔는데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맥박이 미친 듯이 뛰는데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손톱이 빠지기 시작하는데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누군가 나의 성기를 잘라버렸는데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목에는 칼이 꽂혀서 안 빠지는데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그 칼이 내장을 드러냈는데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펄떡거리는 심장을 도려냈는데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담벼락의 비가 마르기 시작하는데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정재학,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전문, 『어머니가 촛불로 밥을 지으신다』, 민음사, 2003.) 14) "새로운 흉측함"이 탄생하기까지 세 개의 사건이 있었다. 첫 번째 사건은 2016년 5월 강남역 여성 살해 사건으로 이 사건을 계기로 여성혐오에 대해 많은 여자들이 분노를 표출했고 조직적인 대응으로 커졌고 이에 맞선 여성혐오자들의 역공격으로 젠더 사이의 격렬한 갈등이 촉발되었다. 두 번째 사건은 2016년 9월 소셜 미디어에 해시태그(#문단_내_성폭력)를 달고 몇몇 문인들을 고발한 것에서 문단 성폭력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 것이다. 2017년 1월 문화예술계 성폭력 해결방안에 대한 국회토론회 에 한국작가회의, 출판계의 성폭력 심각성을 인지한 작가들이 모인 페미라이터 등이 참여해 대화를 나누는 등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세 번째 사건은 2017년 10월 할리우드 영화제작자인 하비 와인스타인(Harvey Weinstein)의 성추문을 폭로하고 비난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 해시태그(#Me Too)를 다는 것에서 미투 운동이 큰 반향을 일으킨 것이다. 2017년 『황해문화』 겨울호 특집은 이러한 시류를 반영해 '젠더 전쟁'으로 잡았는데, 이때 시인 최영미의 시「괴물」이 게재되었다. 이후 문단 내 성폭력 논란이 재점화 되었다. 15) 연금술 실험실은 부엌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6) 사우디아라비아 최초의 여자 영화감독인 하이파 알만수르(هيفاء المنصور, Haifaa al-Mansour) 는 2017년 『메리 셸리: 프랑켄슈타인의 탄생(Mary Shelley)』을 연출했다. 그녀는 연출 의도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메리 셸리는 완벽한 인물이 아니기에 의문의 여지가 있는 선택도 하고 때론 실수도 한다. 하지만 그녀는 낙담하지 않고 상실로 인한 괴로움에 굴복하지도 않는다. 그저 계속 앞으로 나아간다. 가지고 있던 고통의 짐을 심오한 예술작품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언제라도 포기하거나 뛰어난 부모 혹은 남편을 따르는 게 쉬울 수도 있었을 텐데도 메리 셸리는 결국 자기만의 내면의 목소리를 찾는다. 나 역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영화를 만드는 건 메리 셸리처럼 모든 사회적 편견을 깨고 나아가는 과정이었다. 나는 상실과 괴로움을 딛고 내면의 목소리를 찾았던 메리 셸리처럼 강한 여성의 삶을 기록하고 싶었다." 17) 혼자 사는 여자를 위한 안전 팁 중 하나는 택배 수신인 이름을 남자 이름으로 대신 사용하는 것이다. 2018년 개봉된 공효진 주연의 『도어락(Door Lock)』에서는 혼자 사는 주인공이 현관에 남자 구두를 놓아둔다든가 창문이 보이는 베란다에 남자 속옷을 걸어 두는데, 이 역시 혼자 사는 여자를 위한 안전 팁에 속한다. 18)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은 출간되자마자 연극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판권을 계약한 출판사가 소유권을 내놓지 않았기 때문에 과학자가 피조물을 만들었다는 원본 텍스트의 중심 에피소드만 유지한 채 무대 각색본이 계속 변형되고 패러디의 패러디가 거듭되어 나왔다. 또한, 연극으로 만든 초기에는 괴물 역할을 했던 배우의 이름 옆에 빈 선을 그어 놓은 것이 관례였다고 하는데, 그러한 관례를 알게 되었을 때 메리 셸리는 명명할 수 없는 것을 이름 짓는 이 이름 없는 방식이 마음에 든다고 말했다. 19) 앤 핀치, 윈칠시 백작부인은 남자들이 "글을 쓰고자 하는 여자"들은 "성과 도리를 잘못 알고 있다고" 비난하며, "예의범절, 유행, 춤, 옷치장, 유희" 같은 것들이 여자들이 "갈구해야 하는 소양"이며, "쓰고, 읽고, 생각하고, 탐구하는 것은" "아름다움을 흐리게 하고 시간을 고갈시키"는 것이라고 충고하는 것을 비판하였다. 20) 헬렌 디윗(Helen DeWitt)은 1990년대 후반에 『피뢰침(Lightning Rods)』을 썼지만 독특한 방식의 소설이라는 이유로 여러 출판사에 거절당하다 2011년에 출간할 수 있게 되었다. 『피뢰침』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과 일렉트로룩스 청소기 판매에 실패한 세일즈맨 조 슈모가 피뢰침 사업으로 성공한 사업가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소설의 형식을 취하면서 자기계발서나 CEO의 자서전 같은 느낌이 들게 쓴 풍자 소설이다. 조 슈모는 직장 내 성 문제로 가해자에게 가해지는 처벌이 가혹하다고 생각하며, "한 남자가 여성을 존중하는 법을 못 배우고 자랐고 그건 그의 잘못이 아닌데, 그 약점 때문에 그의 커리어 전체가 위험에 빠져도 되는가?" 안타까워한다. "가정교육을 잘못 받은" 탓에 "개자식이 되고 싶어서 된 게 아"닌 남자들을 옹호하며, "가뜩이나 불리한 위치에서 하버드나 예일 출신의 남자들과 경쟁해야 하는데, 여직원들과 가까이 있을 때마다 커리어가 위태로워지는 불이익까지 짊어져야" 하는 남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으로 피뢰침 사업을 구상하기에 이른다. 기업들을 찾아다니며 "현대 업무 환경에서 젠더 간 및 젠더 내 상호 교류는 지뢰밭으로 통하는데" "피뢰침"은 "성적 금기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긴장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피력한다. "비난을 도맡아 주는 사람"의 역할을 하는 "천 명 중 한 명"의 여직원을 피뢰침으로 고용해 혜택을 주는 것을 조건으로, 장애인 전용 화장실 벽에 구멍을 뚫고 직원들의 성행위가 이뤄질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남자들 입장에서는 매춘부를 만나지 않아도 성욕을 배출할 수 있어 직장 내에서 성희롱이나 성폭행을 저지르지 않아도 되는 한편 여자들 입장에서는 직장 내에서 성희롱이나 성폭행을 당하지 않아도 되기에 합리적이면서 익명에 기반 하여 안전한 피뢰침 사업을 성공시킬 수 있었다. 조 슈모는 자신이 평등한 기회를 주는 고용주라고 자부하지만 그 이면에는 피뢰침으로 고용된 여직원들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몇몇 피뢰침들이 피뢰침을 한 이후 성공하긴 하지만 "성공한 피뢰침은 모두 특출난 사람들이었"고, 성공의 문제를 떠나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는 일이지만 그는 사업가일 뿐이기에 그런 식의 "도덕적 판단"은 그의 몫이 아니다. (헬렌 디윗, 『피뢰침』, 김지현 옮김, 열린책들, 2019.) 21) 1991년 『백래시(backlash)』를 출간한 수전 팔루디(Susan Faludi)는 2018년 10월 이데일리 W페스타에서 "최근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페미니즘 폭발' 현상이 흥미롭다."고 했다. "미투 운동이 봇물 터진 지금이 한국에서 여성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최고의 시기이자 최악의 시기"라고 보이는데, "성 평등을 향한 여성의 목소리는 점점 커졌지만 그에 따른 반격 역시 거듭"되는 역사의 흐름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한국을 포함해 세계에서 기록적인 수의 여성들이 거리로 나와 행진하고 페미니즘의 부흥이 일어나고 있지만, 동시에 우파 정권과 강력한 권력을 행사하는 남성 리더들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전 팔루디는 "남녀 간 상호이해만이 화합"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말한다.
제38회 김수영 문학상에 시인 권박(36)이 영예를 안았다.
민음사는 "투고된 170편의 원고 중 예심을 거쳐 올라온 9편 중 권박 시인의 '마구마구 피뢰침' 외 67편을 올해 수상작으로 선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상금은 1000만원, 시상식은 연말에 예정돼있다.
심사위원단인 김행숙 시인은 수상작에 대해 "그의 시들을 나는 어디에서도 읽은 적이 없었다. 읽은 적이 있는 것 같은 그런 기분, 모종의 기시감 같은 것도 전혀 없었다"며 "페미니즘과 초현실주의가 만나 폭죽을 터뜨리고, 정치적인 것과 시적인 것이 새로운 포옹법을 실험한다"고 평했다.
권 시인은 직접적인 수상 소감 대신 자신의 이름 '권박'이 탄생한 배경을 전했다.
권 시인이 작가로 활동하면서 사용한 기본 약력은 '1983년생 권민자(珉子)'였다고 한다. "아들을 염원하는 마음에서 지어낸 것"이라며 "여자라는 이유로 태어나면서부터 실망스러운 사람, 막막한 사람이 돼야 했다"고 설명했다.
권 시인은 그러면서 "여자아이에게 자(子), 남(男)을 써서 이름을 짓는 일은 1990년대에도 2000년대에도 일어나는 일"이라며 "여성을 넘어 작가로서 쓰고 싶은 것에 대해 숙고해야겠다고, 쓰고 싶은 것을 쓸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므로 이름을 없애고 아버지 성과 어머니 성을 같이 쓰자고 결정했다. 이름 없는 이름, '권박'은 그렇게 탄생했다"고 부연했다.
권 박은 1983년 경북 포항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랐다. 동국대 문예창작과 졸업, 동국대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2012년 '문학사상'으로 등단했다.
한편 김수영문학상은 1960년대 자유와 저항정신의 대표적인 참여시인 김수영의 문학 정신을 계승하고 후진 양성을 위해 1981년 제정된 시문학상이다.
민음사는 김수영문학상 주관사로, 매년 한 명의 시인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2006년부터는 등단하지 않은 예비 시인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헤이뷰티플 순백의 빅토리아 시크릿 이메진 웨얼아유고잉 허밍으로 돈츄스피크잉글리쉬 침 튀기는 엔초비 프린스 두유해브타임 개들이 살 비비는 센트럴 파크 따발총 칭챙총** 호퍼의 창문 하루 종일 키스미 미트볼 뚱뚱한 금요일 고져스 에이비씨 에비뉴 전깃줄에 묶인 발레리나 행아웃위드미 한밤중의 컴히얼 망아지 산책교실 인용구로 남은 스마일걸 아유얼론 뒤뚱뒤뚱 섬마을의 소낙비 드링크위드미 계단 위의 미로 허드슨 리버 가운데 굶주린 바케쓰 왓츠유얼폰넘버 소호 허니 도살장 나이스바디 플라타너스 아이러브 교회 탑 사방의 호각소리 마이럽 엉킨 바지를 벗었다 룩앳미 여러 켤레의 히치하이커 헤이 헤이룩앳미 젖은 레코드판 빈티지 미녀 룩앳미걸 두유워너퍽 수수깡으로 지은 경찰청 헬로헬로 종이컵 속에서 짤랑짤랑 우는 치나*** 오솔길 지름길 아유이그노잉미 낯선 몸과 학교로 가고 구석에서 조는 퍼킹비취 엄마 괜찮아요 잘 살고 있어요 행복해요 그 사이 나의 소원은 고백투유어컨트리
* 서구권에서 행해지는 노상 성희롱을 일컫는 말
** 서구권에서 중국어 발음을 따라 한 것으로 동양인을 비하할 때 쓰는 멸칭
이소호 시인(30)이 제37회 김수영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민음사는 5일 “237편의 시집 원고 중에서 이소호 시인의 ‘캣콜링’ 외 54편이 선정됐다”며 “시가 쓰여야만 했던 거센 에너지, 시인 내면과 외부의 세상 사이의 압력과 분출을 보여주는 유일한 응모작”이라고 밝혔다. 심사위원을 맡은 김행숙 시인은 “2018년산 ‘고백의 왕’은 성폭력의 유구한 전통과 끔찍한 일상성을 폭로하면서, 이 고백의 연출자이자 동시에 여러 명의 등장인물로서의 미적 주체가 되어 우리 앞에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 시인은 수상 소감에서 “이 詩(시)들은 제가 경험하고 듣고 배운 하나의 역사입니다. 폭력의 時集(시집)입니다. 여자라서 큰딸이어서 연인이어서 신도여서 외국인이라서 신인이어서 당했던 처절한 폭력의 현장입니다”라며 “불편하고 무한한 여자들의 목소리를 조금이나마 흉내 낼 수 있어서 기쁩니다”고 말했다.
도서관에 간다. 밖에서 볼 땐 가로로 긴 직사각형이나 들어가면 첨탑이다. 높은 벽은 거대한 스테인드글라스 창을 달았다. 너무 큰 창은 벽을 약하게 하며 창은 지나가는 것을 모두 수긍해버린다는 나의 생각이 틀렸다고, 도서관 사서인 에드몽 자베스는 말한다.
에드몽이 쓴 글라스의 왼쪽 알에 달린 얇은 줄은 어깨까지 드리운다. 이곳은 천장이 아주 높다, 생각하자 책을 높이 쌓아야 하니까, 에드몽이 대답한다 그는 램프의 뚜껑을 열어 기름을 채운 뒤 촛불을 켠다.
서가에는 책만이 있다 책들은 기둥 모양으로 쌓여 있다. 그 주변을 난쟁이들이 서성인다. 난쟁이들은 허리를 굽히고 고개를 가로로 비틀어 책의 제목을 살핀다. 책기둥의 가장 아래쪽을 살핀다. 읽고 싶은 책은 늘 기둥의 가장 아래쪽에 있다 나는 읽고 싶은 책을 머릿속으로 떠올린다. 그러자 그 책은 기둥의 가장 아래 위치한다.
책기둥들은 어디론가 기울었다. 나는 기울어진 건물을 떠올린다. 피사의 사탑과 같이 똑바로 서지 못한 것들에 사람들은 환호한다. 언제 쓰러질지 모르는 것이 주는 감동은 책기둥이 주는 그것과 유사하다. 기우는 것은 어디론가 편향되니까 겉은 꼿꼿하나 안은 어디론가 치우친 인간의 몸을 떠올린다. 심장은 왼쪽으로, 간은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으므로 사람은 똑바로 걷는다. 기울어진 건물은 내부에 벽으로 치우쳐 자는 사람을 기른다, 는 내 생각을 읽은 에드몽이 나 대신 내 생각을 말한다.
그는 지팡이로 바닥에 널브러진 장서들을 옆으로 치우며 길을 만든다. 이따금 난쟁이들의 숱 없는 작은 머리를 지팡이로 내려친다. 난쟁이들이 독서에 집중하지 않아서라고 말하는 그는, 책기둥에 등을 대고 앉아 책에 푹 빠진 난쟁이들만을 골라 때린다.
난쟁이들이 책기둥을 무너뜨리고 원하는 책을 얻는다. 다시 기둥을 쌓는다. 난쟁이들은 책을 때리고 책을 향해 침을 뱉고 욕설을 퍼붓는다. 그럴 만도 하다, 고 나는 생각한다. 책은 무례하니까. 책은 사랑을 앗아 가며 어디론가 사람을 치우치게 하니까. 벽만 바라봐서 벽을 약하게 만드니까. 벽에 창문을 뚫고 기어이 바깥을 넘보게 만드니까.
난쟁이들은 맨 아래 깔린 책을 얻기 위해 기둥을 무너뜨린다. 책은 쌓여 기둥이 된다. 기운다. 치우친다. 쏟아진다. 다시 쌓인다. 맨 아래 깔린 책을 읽으면 그 위에 쌓인 모든 책을 다 읽은 거나 다름없다고, 그 한 권의 책은 그 위에 쌓인 책들을 집약한다, 는 나의 생각이 안일하다고 에드몽은 꾸짖는다. 햇살이, 몇 가닥 되지 않는 얇고 구불구불한 난쟁이들의 머리칼에서 반짝인다. 빛이 그들의 오래된 생각을 때린다. 난쟁이들은 이제 지친 게 아니겠냐고 생각하는 나는 아직 책을 덜 읽었다, 고 에드몽이 말한다.
제36회 김수영문학상에 신예 시인 문보영(25)이 선정됐다.
30일 김수영 문학상을 주관하는 민음사는 "총 178명의 시인이 50편 이상의 시집 원고를 투고한 2017년 '김수영 문학상'에서 수상의 영예는 신예 시인 문보영이 가져갔다"고 밝혔다.
수상작은 '책 기둥' 외 52편이다. 고려대 교육학과 출신의 문 시인은 2016년 중앙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심사위원 김나영(문학평론가)은 "문보영 시의 담백하고도 에너지 넘치는 문장 이면에는 삶과 세상을 대하는 시인의 용기와 정직한 태도가 두텁게 자리하고 있을 것"이라고 평했다.
심사위원 조강석(문학평론가)은 "아쉬움과 결여조차 또 한 번 ‘배신’당하기를 희망할 만한 작품들이라는 것이 최종 결론"이라며 "또 하나의 사건이 되기를 희망하며 문보영 시인의 수상을 축하한다"고 전했다.
문 시인은 "별 이유 없이 시를 쓴다"며 "시를 쓰는 순간만 아프지 않고, 시를 쓰지 않는 나머지 시간이 너무 지루하다. 사람들은 손잡이가 없다는 이유로 다른 사람을 문으로 생각하지 않는데 시를 쓸 때만큼은 사람의 무릎이나 겨드랑이 아니면 허벅지에 난 점 따위에 달린 작은 손잡이가 보이며, 열릴 리 없지만 왠지 열고 싶다는 느낌을 받는다"는 수상 소감을 밝혔다.
수상작은 격월간 문학잡지 '릿터' 9호에서 공개되며 수상 시집 '책 기둥'으로 만날 수 있다. 수상 시인에게는 상금 1000만 원이 수여된다.
그는 안에 있고 안이 좋고 그러나 안으로 빛이 들면 안개가 새 나간다는 심상이 생겨나고 그러니 밖으로 나가자 비 내리고
비는 믿음이 가고 모든 맥락을 끊고 있어서 좋다고 그는 되뇌고 있다 그러면서 걸어가므로
젖은 얼굴이 보이고 젖은 눈이 보이고 비가 오면 사람들은 눈부터 젖어 든다고 그는 말하게 되고 그러자 그건 아무 말도 아닌 것 같아서 계속 드나들게 된다
얼굴의 물 안으로
얼굴의 물 밖으로
비는 계속 내리고 물은 차오르고 얼굴은 씻겨 나가 이제 보이지 않고
감은 눈으로/안태운
꿈으로부터 내쳐진다. 감은 눈으로, 일부러 눈 뜨지 않고 걸으면 나와 함께 내쳐진 논이 있고 논 위로 걷는 내가 만져진다. 보이지 않는 눈앞에서 그러나 내가 만진 것들은 다 사라지고 사라진 것들은 내 손을 멈추게 하고 손은 어둠에 익숙해진다. 걷고 난 후의 일들은 다른 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짚이 타고 있다. 눈 뜨면 꿈과 함께 내쳐졌다.
제35회 김수영 문학상 수상자로 안태운(30) 시인이 선정됐다고 상을 주관하는 민음사가 4일 밝혔다. 수상작은 '탕으로' 등 50편이다.
민음사는 4일 “135명의 시인이 각기 50편 이상의 시집 원고를 투고한 올해 김수영 문학상에서 독특한 개성을 드러내는 에너지와 확고한 시 세계를 이끌어가는 능숙한 전개가 돋보이는 안태운 시인의 ‘탕으로’ 외 49편이 김수영 문학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심사에 참여한 강정 시인은 "유동적인 세계를 담아내고 있는 그의 시는 지하에서 지하로 흐르는 물처럼 언뜻 봐서는 눈에 띄지 않지만, 들여다볼수록 강한 기운이 느껴지는 문장들이었다. 지하에만 머물지 않고 간간이 지상으로 도약하는 듯한 문장의 꿈틀거림도 함께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수상작은 다음달 발행되는 격월간 문학잡지 '릿터' 3호에 실리고 단행본 시집 <탕으로>로 출간된다. 시상식은 다음달 20일 오후 7시30분 강남역 카페 빈브라더스에서 안 시인의 시집 낭독회로 열린다. 상금은 1000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