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조영서(70) 씨가 제3회 청마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수상작은 시집 「새, 하늘에 날개를 달아주다」(문학수첩)이다.
시인의 세번째 시집인 「새, 하늘에 날개를 달아주다」에는 「만월」 「알바트로스」 「나그네 새」 등 간결한 구절 속에 은은함이 배어 나오는 시 80여 편이 실려 있다.
청마(靑馬) 유치환(1908~1967)의 제자와 후학들의 모임인 청마문학회(회장 문덕수)가 제정한 청마문학상은 시, 시조, 문학평론 분야에서 등단 20년 이상 된 문학인의 최근 5년 이내 발간된 저서를 대상으로 주어진다. 1회 수상자는 김춘수, 2회 수상자는 김윤성 시인이었다.
원로시인 김춘수씨(78)가 제1회 청마(靑馬)문학상을 받는다. 청마 유치진 시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이 상을 제정한 청마문학회(회장 문덕수)는 최근 신작 시집 「의자와 계단」을 펴낸 김씨를 20일 첫 수상자로 선정했다.
시상식은 2월 14일 오후 2시 통영시민문화회관 개관식과 함께 열리며 창작지원금 1천만원이 주어진다.
김씨는 청마와 함께 1945년 통영문화협회를 결성하기도 했으며 1946년 등단한 이래 15권의 시집을 냈다
원로시인 김춘수씨가 새 시집을 내며 여전한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올해로 78세인 김씨는 「의자와 계단」(문학세계사 펴냄)을 통해 새로워진 작품세계를 독자들에게 펼쳐보였다.
시집에 실린 작품은 <의자> <계단>을 비롯해 모두 50여편. 그는 이들 작품에서 '마음가는대로, 느끼는대로' 사물을 관조하며 그 모습을 정제된 언어로 노래했다.
김씨는 시적 실험과 자아 부정을 통해 '무의미시'라는 문학적 지평을 열었던 시인. 그는 언어파괴라는 극한작업으로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를 넘나들었다.
이번 시집은 이같은 그의 작품세계에 변화를 몰고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언어실험보다는 서정성 넘친 시적 미학으로 인간의 감성을 잔잔하게 자극하고 있다는 것.
대표작으로 꼽히는 <놀>은 유년 시절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회상을 한편의 회화처럼 생생하게 재현해내고 있다.
<어머니가 어떤 동작을 하다가 무심코 고개를 들어 서쪽 하늘을 바라봅니다. 나도 무심코 어머니의 시선을 따라 서쪽 하늘을 쳐다봅니다. 그쪽은 온통 놀로 물들어 있습니다 // 놀로 물든 하늘이 어머니의 볼에 적십니다. 어머니의 볼도 놀빛으로 볼그스름 물들어갑니다>(<놀>에서)
팔순을 바라보는 김씨는 치열한 삶과 편안한 안식을 동시에 갈구하고 있다. 시집의 제목을 <의자와 계단>이라고 붙인 것도 이것과 직접 관련이 있어 보인다. 그는 책의 첫머리에서 "의자는 안식의 표상이다. 거기 가서 내 엉덩이를 놓아 한번 푸근해지고 싶다. 나는 지금 의자가 없는 세상에 살고 있다"고 안타까워 한다. 또 "제아무리 올라간다 해도 계단에는 한계가 있다. 다시 내려와야 한다"는 말로 삶의 고단한 필연을 강조했다.
시집 뒷부분에 나오는 다섯편의 짧은 시에서는 그 특유의 익살과 기지가 느껴지기도 한다. 제목이 없는 이들 시는 마치 동화같은 분위기를 안겨준다.
<달도 말고 별도 말고 / 해 지면 슬금슬금 / 뒷집 영감 불알이나 따러 가세>
<우루무치는 내 동생 / 누루무치도 내 동생 / 한 놈은 쩔룸발이 / 한 놈도 쩔룸발이 /왜 두 놈이 다 쩔룩거려야 하나 / 한 놈과 쩔룩거리면 안 될까>
김씨는 등단 무렵의 상황과 작품세계 형성과정 등을 들려주는 산문 <시인이 된다는 것> 등 두 편의 산문도 시집 끝에 덧붙여놓았다.
의령군은 제11회 천강문학상 수상자와 제5회 의령군 청소년 천강문학상 수상자를 결정, 발표했다. 제11회 천강문학상 부문별 대상으로 소설 부문에는 노경자(필명 노령)의 <의령, 의령>이 차지했다.
시 부문 안광숙(필명 안이숲)의 <나비정첩>, 시조 부문에는 서희정(필명 서희)의 <지금 함박눈이>, 아동문학 부문에는 최영란의 <산이> 수필 부문은 김희정(필명 조이)의 <러시아워>가 각각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각 부문별 우수상은 소설 부문에 정남일의 <냉장고의 미래>, 시 부문 박선희의 <가정>, 시조 부문에는 김성애의 <다시 쓰는 자술서>, 아동문학 부문은 조현미(필명 조은결)의 <배추흰나비>, 수필 부문은 문경희의 <겨울소리>가 영광의 주인공이 됐다.
제5회 의령군 청소년 천강문학상 대상은 초등학교(저학년부) 부문에 부림초등학교 박준효의 <달리는 눈썰매>가, 초등학교(고학년부) 부문에 유곡초등학교 김다희의 <까칠이 왕자님 드디어 김치를 드시다이>, 중등부 부문에 의령여자중학교 김도원의 <개인주의 사회>가, 고등부 부문에 신반정보고등학교 강해솔의 <그날의 감정을 기록하다>가 영광을 차지했다.
대상 이외에도 초등 저학년, 초등 고학년, 중등부, 고등부 각 학년별로 최우수상 1명, 우수상 2명, 장려상 3명이 수상했다.
지난 1월31일까지 접수한 제11회 천강문학상은 1164명에 5951편이 접수, 제5회 의령군 청소년 천강문학상은 175명에 272편이 접수됐다.
분야별로 보면 시에 329명 2329편, 시조에 142명 1007편, 소설에 183명 308편, 아동문학에 288명 1640편, 수필에 222명 667편이 접수됐다.
시상금은 소설 부문 대상 1000만원, 우수상 500만원, 시와 시조, 아동문학, 수필은 각 대상에 700만원, 우수상은 각 300만원이다.
심사는 곽재우 장군의 생애와 사상, 철학, 문학의 업적 등에 대해 비중을 두었으며, 비공개로 엄정하고 공정하게 진행되어 수상자는 예심과 본심을 거쳐 최종 결정되었다.
한편 제11회 천강문학상 및 제5회 의령군 청소년 천강문학상 시상식은 오는 4월22일 있을 예정이다.
자유와 허무, 방랑의식과 민족혼을 커다란 스케일로 노래했던 공초 오상순 선생의 시적 위의(威儀)는 오늘날 한없이 왜소해진 우리 삶의 성찰적 역상(逆像)이 되어 주고 있다. 이러한 선생의 삶과 시를 기리는 공초문학상 제29회 수상자로 선정된 허형만 시인은 맑고 고운 순수 모국어를 섬세하게 가다듬어 온 우리 시단의 대표적 중진이다.
그의 시 세계는 근원적 보편성을 일관되게 탐색하고 추구함으로써 존재의 기원에 대한 원형적 사유를 줄곧 축적해 왔다. 사물들을 향한 경험적 관찰과 그리움의 에너지를 통해 다양하고도 심원한 형상을 얻어 온 것이다. 이번 수상작 ‘산까치’ 또한 이러한 허형만 브랜드의 정점에서 발화된 결실로 다가오고 있다. 시인은 보슬비 내리는 산길에서 산까치들이 뛰노는 장면을 만난다.
그네들과 함께 뛰고 싶어 우산을 접고 다가가는데 산까치들은 어느새 나뭇가지 위로 날아오른다. 그때 시인은 “젖어라 시여/ 심장 깊이 젖어라 시여”라고 산까치들이 젖으며 노래하는 환청을 듣는다. 산딸기도 젖으며 붉게 익어가고 시인이 상상한 ‘시’(詩)도 부드럽게 젖어간다. “젖어라 시여/ 뼛속까지 젖어라 시여”라는 마지막 외침은 ‘산길=산까치=산딸기’를 살아 있는 형상으로 만들면서 그 형상이 아름답고 처연하게 젖어 가는 순간을 실감 있게 담아내고 있다. 이는 서정시의 광맥을 지속적이고 균질적으로 일구어 온 그만의 미학적 성취다. 허형만 시인이 노래하는 이러한 생명 지향의 언어를 통해 우리는 경험적 진정성과 함께 사물의 존재 형식에 대한 발견에 깊이 참여하게 될 것이다.
자유와 허무, 방랑의식과 민족혼을 처연한 감성과 큰 스케일로 노래했던 공초 오상순 선생의 시적 위의(威儀)는 오늘날 한없이 왜소해지고 사사로워진 우리 삶의 성찰적 역상(逆像)이 되어주기에 족하다.
선생을 기리는 공초문학상 제28회 수상자로 선정된 오탁번 시인은 이러한 공초 선생의 면모에 최대한 부합하는 자유로운 상상력과 활달한 언어 그리고 인간과 자연을 실물적으로 포착하고 재현하는 능숙한 역량으로 이미 우리 문학사의 고전이 된 분이다. 그의 시세계는 기억 속의 유년과 고향에서 시작하여, 가장 순수한 원형을 간직한 ‘원서헌’ 근처의 생명들을 보살피고 어루만져온 과정을 담아낸 것이었다.
어린아이의 시선으로 우리 기층언어에 대한 지극한 헌신을 이루어낸 시집 ‘알요강’(2019)은 이러한 만유 공존의 상상력을 극점에서 드러낸 명품이다. 거기 실린 수상작 ‘하루해’는 ‘하루해’ 아래서 때로 부지런하고 때로 느리게 움직여가는 자연의 풍경을 부조하면서도 “낮곁 내내/보행기 미는 노인 한 둘”을 대조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더디게 스러져가는 삶을, 쓸쓸하지만 환하고, 비어 있지만 가득한 삶의 역리(逆理)로 노래하고 있다. 오탁번만의 천진성과 반(反)근대적 시법이 다시 한번 확인되는 순간이 아닐 수 없다. 그야말로 순은(純銀)이 빛나는 아침으로부터 뉘엿하게 기울어가는 해거름까지, 하루해의 시간을 근원적 시선으로 발견한 순수 회귀의 시학이 미덥게 펼쳐진 것이다.
문학사상은 지난 8월 소월시문학상 본심을 거친 신작 시집들 중에서 '풀꽃시인'으로 유명한 나태주 시인의 '마음이 살짝 기운다'를 대상작으로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소월시문학상은 한국 서정시를 대표하는 김소월의 시 정신을 기리기 위해 1986년 제정된 상이다.
나태주 시인은 1945년 충남 서천에서 태어나 공주사범학교와 충남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오랫동안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한 작가 겸 교육자다.
197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해 50여 년간 수천 편에 이르는 작품을 발표해왔다. 쉽고 간결한 시어로 소박하고 따뜻한 자연의 감성을 담은 시로 사랑을 받아왔다.
소월시문학상 심사위원회는 "대상으로서의 자연을 일상의 경험과 밀착시켜 섬세하게 그려낸 점이 모든 심사위원들의 주목을 받았다"며 "최근 펴낸 시집들을 통해 소박하면서도 간결한 언어에 명징한 심상을 실어 서정시의 새로운 경지를 열어놓고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고 수상 이유를 밝혔다.
나태주 시인은 “흔히들 김소월 선생의 시를 쉽다고, 연애시 어름이라고 그러는데 그건 시를 제대로 깊게 읽어보지 않아서 그렇다, 가슴으로 느끼면서 영혼으로 무겁게 읽으면 그분의 시처럼 어려운 시도 드물 것”이라며 “언감생심, 김소월 선생의 작품을 따를 수는 없겠지만 보다 좋은 작품을 쓰기 위해 부단히 마음을 모으고 실수하지 않는 인생을 살려고 노력하겠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시상식은 이상문학상 및 신인문학상과 함께 12월 열릴 예정이며 상금은 1000만원이다. '2019년 제30회 소월시문학상 기념 시집'은 내년 상반기 발간되고 나 시인과의 인터뷰 등은 월간 '문학사상' 10월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